[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올해 상반기 농식품과 농산업을 합친 'K푸드 플러스(+)' 수출이 역대 최대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늘(3일) K푸드 플러스 수출이 66억7천만달러(약 9조원)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1%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농식품은 51억6천만달러(약 7조원)로 8.4% 증가했습니다.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권역은 북미로 24.3% 늘어난 10억3천만달러였고, 유럽연합(EU+영국)은 4억2천만달러로 23.9% 증가했습니다.

수출액 증가율을 분기별로 보면 올해 1분기와 2분기 각각 9.8%, 7.7%였습니다.

다만 주력 시장인 미국, 중국, 일본의 2분기 수출 증가폭은 1분기보다 커졌습니다.

대미(對美) 수출액 증가율은 1분기 25.1%에서 2분기 28.6%로 높아졌습니다.

같은 기간 중국으로의 수출액 증가율은 1.0%에서 9.4%로, 일본으로의 수출액 증가율은 0.8%에서 6.9%로 모두 크게 뛰었습니다.

5천만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낸 가공식품 중 증가율 상위 품목은 라면(24.0%), 아이스크림(23.1%), 소스류(18.4%) 순이었습니다.

특히 올해 상반기 라면 수출액은 7억3천만달러, 약 1조원으로 지난해보다 기록을 앞당겼습니다.

해외 소비자의 호응과 함께 중국과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현지법인과 대형 유통매장 중심의 안정적인 유통체계가 확립된 데다 유럽, 아세안 등 신시장 진출도 수출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농식품부는 분석했다.

한식 인지도 확산과 매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고추장, 쌈장, 매운맛 소스, 불고기 소스 등의 소스류 수출도 늘었습니다.

국가별 소스류 수출액 증가율은 일본이 128.5%로 가장 높고 중국과 미국이 각각 27.0%, 13.4%로 나타났습니다.

아이스크림의 경우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대형 유통매장 판매가 증가했고 캐나다 등에서는 식물성 아이스크림 같은 대체품 수출이 늘었습니다.

수출액 증가율은 캐나다가 84.9%이고 미국과 중국이 각각 22.8% 수준이었습니다.

2천만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보인 신선식품 중에선 닭고기(7.9%)와 유자(5.5%)의 수출액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삼계탕과 냉동 치킨 인기에 따라 미국 등으로 열처리 가금육 수출도 늘었고, 작년 검역 협상이 타결된 EU로의 올해 상반기 가금육 수출액은 작년 실적의 두 배를 넘었습니다.

유자는 미국 현지 대형 유통매장 내 입점이 지속되고 일본에서 음용 편의성을 높인 제품이 출시되면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농식품부는 풀이했습니다.

동물용 의약품과 농약 등 농산업 분야 상반기 수출 실적은 15억달러(약 2조원)로 3.1% 증가했습니다.

동물용의약품 수출은 지난달 말 기준 51.0% 증가한 1억7천만달러(약 2천억원)로 집계됐습니다.

농약 수출은 22.4% 증가한 4억9천만달러(약 7천억원), 종자 수출액은 14.1% 증가한 3천만달러(약 400억원)였습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연말까지 140억달러 수출 목표를 달성하도록 수출기업의 상품 개발과 해외 온오프라인 판촉, 관세·비관세장벽 등 컨설팅과 환율·물류 등 수출 리스크(위험) 대응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K푸드 #수출 #농식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준하(jju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