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이 83.5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2년 넘게 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스스로 세상을 등지는 비율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오늘(30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OECD 보건통계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국가 평균(81.1년)보다 2.4년 길었습니다.
최신 통계인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회피가능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51.0명으로, OECD 평균(228.6명)보다 낮았습니다.
회피가능사망률은 질병을 예방하고 제때 치료해 막을 수 있었던 사망 사례를 뜻하는 것으로,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의료의 질이 높다는 뜻입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우리 인구 10만명당 회피가능사망률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3.1% 감소했습니다.
영아사망률 역시 2023년 현재 출생아 1천명당 2.5명으로, OECD 평균(4.1명)보다 1.6명 낮았습니다.
높은 수준의 기대수명과 의료의 질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2003년 이후 부동의 1위를 유지 중입니다.
비교 가능한 최신 통계인 2022년 기준 우리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3.2명으로, OECD 평균(10.7명)의 2배를 넘었습니다.
2023년 현재 우리나라의 GDP 대비 경상의료비는 8.5%로, OECD 평균(9.1%)보다 작았습니다.
경상의료비는 보건의료부문 서비스·재화에 쓴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을 뜻합니다.
하지만, 우리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는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7.8%씩 늘어 OECD 평균 증가율(5.2%)을 웃돌았습니다.
2023년 현재 구매력평가(PPP) 기준 4,586달러(약 634만6,600원)입니다.
전체 경상의료비 가운데 민간 의료비를 제외하고 정부와 건강보험 등 보험 의무 가입에 따른 보건의료비 비중은 2013년 55.9%, 2018년 58.0%, 2023년 60.4%로 점차 커졌습니다.
그만큼 경상의료비 중 가계직접부담 비중은 2013년 38.3%, 2018년 34.7%, 2023년 31.2%로 작아졌습니다.
국내서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의사수는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023년 현재 우리나라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천명당 2.66명으로, 일본(2022년 기준 2.65명)에 이어 OECD 국가(평균 3.86명) 중 두 번째로 적었습니다.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임상 의사 수 '꼴찌'에 머무르다 한 단계 올라섰습니다.
'미래 의사'인 우리나라의 의학 계열 졸업자(한의학 포함·치의학 제외)는 2023년 인구 10만명당 7.4명이었습니다.
이는 OECD 국가(평균 14.3명) 가운데 이스라엘(7.2명), 캐나다(7.3명)에 이어 세 번째로 적은 수치입니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병원의 병상수는 인구 1천명당 12.6개로, OECD 평균(4.2개)의 3배에 달해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병상 가운데 생명이나 정상적 기능을 위협하는 질병을 다루기 위한 급성기 치료 병상은 인구 1천명당 7.4개로, OECD 평균(3.4개)의 2.2배 수준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 국민 1인이 의사로부터 외래 진료를 받은 횟수는 2023년 기준 18.0회로 OECD 평균치(6.5회)의 2.8배에 달해 전체 회원국 중 가장 많았습니다.
일본(2022년 기준 12.1회)이 우리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1인당 외래 진료 횟수가 많았던 반면, 멕시코(1.8회), 코스타리카(2.2회), 스웨덴(2.4회), 그리스(2.7회)에서는 3회가 채 되지 않았습니다.
#기대수명 #자살률 #OECD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