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인권기구는 최근 10년간 북한 인권 상황이 악화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정권의 주민 감시와 통제가 더 극심해졌다는 겁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현지시간 1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인권 상황'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2014년 북한인권조사위원회 활동 이후 탈북자 등 314명을 면담한 결과를 토대로 최근 10년 북한 인권을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OHCHR은 "2015년 이후 국민의 삶 면면을 감시하고 통제하도록 법령과 정책, 절차가 새로 도입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종교의 자유를 제한하고 사형제도를 광범위하게 용인하는가 하면, 기술 발전으로 주민 감시가 더 빈틈없이 이뤄진다고 했습니다.
또, 여전히 정치범 수용소가 운영되고 납치된 외국인 등 실종자 수십만 명의 생사가 파악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출입국 감소 ▲인터넷 차단 ▲해외 정보 통제 ▲남한과 관계 단절 ▲평화적 통일 정책 폐기 등을 '북한 고립'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폴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잃어버린 10년을 목도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현 궤도를 그대로 따라간다면 국민은 이미 오랜 기간 감내해 온 고통, 잔인할 정도의 억압과 공포를 한층 더 심각하게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북한 #북한인권 #유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효인(hij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