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미국산 의약품 수입액이 1조4천억원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미국산 항암제와 희귀의약품 수입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필수의약품 수입 다변화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국내로 수입된 미국산 의약품 규모는 10억2,141만3천달러(약 1조4,095억 원)로 집계됐습니다.
품목별로는 ▲ 항암제 2억4,182만8천 달러(23.7%) ▲ 희귀의약품 1억9,499만2천 달러(19.1%) ▲ 백신 1억92만5천 달러(9.9%) ▲ 기타 4억8,366만7천 달러(47.4%)였습니다.
항암제·희귀의약품·백신 3개 군 합계가 5억3,774만5천 달러로 약 52.7%를 차지했습니다. 항암제 비중은 2021년 일시적으로 14.3%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상승세를 보이며 작년 23.7%로 상승했습니다. 희귀의약품 비중도 전년보다 2.3%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미국에서만 제조되는 독점 의약품도 다수 수입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화이자의 항암 주사제와 노바티스의 척수성근위축증 치료제 '졸겐스마', BMS의 간염 치료제 '바라크루드', 한국MSD의 백신 '로타텍' 등 미국산 수입 의약품 83개 품목은 국내 생산이나 제3국 수입으로는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미국산 의약품 의존도가 심화되면 관세 협상 등에 따른 영향이 커질 수 있는 만큼 공급망 다각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미애 의원은 "국내 환자들이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백신 등 핵심 의약품에서 미국산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수치로 확인됐다"며 "정부는 국민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글로벌 필수 의약품 재고 비축, 수입 다변화, 국산화 등 국내 생산 확대 등 종합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UPI 연합뉴스][UPI 연합뉴스]
#미국 #의약품 #수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덕재(DJY@yna.co.kr)
미국산 항암제와 희귀의약품 수입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필수의약품 수입 다변화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국내로 수입된 미국산 의약품 규모는 10억2,141만3천달러(약 1조4,095억 원)로 집계됐습니다.
품목별로는 ▲ 항암제 2억4,182만8천 달러(23.7%) ▲ 희귀의약품 1억9,499만2천 달러(19.1%) ▲ 백신 1억92만5천 달러(9.9%) ▲ 기타 4억8,366만7천 달러(47.4%)였습니다.
항암제·희귀의약품·백신 3개 군 합계가 5억3,774만5천 달러로 약 52.7%를 차지했습니다. 항암제 비중은 2021년 일시적으로 14.3%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상승세를 보이며 작년 23.7%로 상승했습니다. 희귀의약품 비중도 전년보다 2.3%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미국에서만 제조되는 독점 의약품도 다수 수입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화이자의 항암 주사제와 노바티스의 척수성근위축증 치료제 '졸겐스마', BMS의 간염 치료제 '바라크루드', 한국MSD의 백신 '로타텍' 등 미국산 수입 의약품 83개 품목은 국내 생산이나 제3국 수입으로는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미국산 의약품 의존도가 심화되면 관세 협상 등에 따른 영향이 커질 수 있는 만큼 공급망 다각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미애 의원은 "국내 환자들이 항암제, 희귀질환 치료제, 백신 등 핵심 의약품에서 미국산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수치로 확인됐다"며 "정부는 국민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글로벌 필수 의약품 재고 비축, 수입 다변화, 국산화 등 국내 생산 확대 등 종합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의약품 #수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덕재(DJ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