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에만 우리나라가 지식서비스 무역에서 약 6조원에 이르는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7일) 공개한 '2025년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지식서비스 적자는 모두 45억3천만달러(약 6조2,600억원)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하반기(-37억6천만달러)보다 적자 폭이 7억7천만달러 커졌습니다.
지식서비스 수지 통계는 주로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생산되고 디지털 형태로 거래되는 서비스의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수치를 뜻합니다.
지식재산권 사용료, 정보·통신 서비스, 문화·여가 서비스, 전문·사업 서비스 4개 분야가 포함됩니다.
이 가운데 지식재산권 사용료 적자가 6개월 사이 14억4천만달러에서 24억5천만달러로 10억달러 늘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특허 로열티, 해외 브랜드 상표권·프랜차이즈권 관련 로열티 지급이 증가하면서 산업재산권 적자가 12억8천만달러에서 17억5천만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외국 게임·OTT·AI 앱, 온라인 구독 서비스 수요 증가와 함께 저작권 적자도 9천만달러에서 6억달러로 5억1천만달러나 급증했습니다.
반대로 정보·통신서비스의 경우 흑자 규모가 12억8천만달러에서 19억6천만달러로 6억8천만달러 늘었습니다.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흑자 기록입니다.
우리나라가 생산한 스마트폰에 외국 앱 등을 탑재해주고 받은 대가가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문화·여가서비스 흑자도 작년 하반기와 같은 4억4천만달러를 기록했습니다.
K팝 등 K-콘텐츠의 인기에 힘입어 공연·전시 관련 흑자가 1억8천만달러에서 2억달러로 늘었습니다.
#한국은행 #OTT #저작권 #적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시진(se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