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미국발(發) 수출을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지난달 미국 앨라배마공장(HMMA)에서 생산해 다른 나라로 수출한 물량은 1,894대로 전월(450대) 대비 321% 증가했습니다.
지난 5월 14대로 급감한 뒤 6월 '제로'(0대)를 기록했던 미국발 수출 물량이 평월 수준으로까지 회복한 겁니다. 작년 월평균 수출 규모는 1,883대였습니다.
이는 현대차가 미국과 캐나다 간 관세전쟁 여파로 멈췄었던 캐나다 수출을 재개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현대차는 지난 4월 캐나다가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이래 미국발 캐나다향(向) 선적을 중단해왔습니다.
그런데 양국 간 관세 장벽이 쉽사리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재고 최적화 차원에서 수출을 다시 시작한 것입니다.
앞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지난달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를 철회한다면서도 "자동차와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는 현행(25%)대로 유지된다"고 못 박았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앨라배마 공장에서 캐나다향 물량을 만들었는데 그대로 두면 재고가 되는 상황"이라며 "보복관세가 단기적으로 끝나지 않고 장기화하면서 다시 수출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최근 현대차가 캐나다 시장에서 호조세를 보이는 상황도 이번 수출 재개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제네시스를 포함한 현대차의 지난달 캐나다 판매량은 1만3,611대로 작년 동월 대비 2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현대차의 역대 8월 최대 판매고로 11개월 연속 최대 판매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생산되는 차종인 투싼이 작년보다 59% 증가한 3,450대가 판매되며 베스트셀링 모델에 올랐습니다.
투싼이 캐나다 시장 호조세를 이끌면서 현대차가 관세 부담을 감수하고 수출 재개를 결정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지점입니다.
향후 현대차는 미국 앨라배마 공장과 함께 기아 멕시코 공장을 통해 캐나다 시장 수요에 대응해갈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승조 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은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아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되는 (미국향) 투싼을 HMMA로 돌리고, HMMA에서 생산하던 캐나다 판매 물량은 멕시코에서 생산해서 캐나다로 넘기는 것을 시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현대차 #자동차 #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