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3주 전 제사용품 구매에 드는 비용이 4인 기준 평균 33만362원으로, 작년보다 0.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서울 25개 구 전통시장과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일반 슈퍼마켓 등 90곳의 추석 제사용품 24개 품목을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비용은 백화점을 제외하고 전통시장, 일반슈퍼, SSM, 대형마트 모두 소폭 내렸습니다.
품목군별로는 수산물류(11.6%)와 기타 식품류(11.0%), 축산물류(7.7%)의 가격 상승률이 높았고, 채소·임산물류(-16.0%), 과일류(-4.2%)의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조사 품목 24개 중 가격이 오른 품목은 14개였습니다.
참조기(3마리 기준) 평균 가격은 지난해 8,143원에서 올해 1만675원으로 31.1% 뛰었습니다.
송편(14.2%), 돼지고기(수육용·목삼겹, 13.9%), 쇠고기(산적용·일반육, 11.3%)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대표적인 제수용 과일인 사과(4.8%)도 올랐습니다.
반면 밤(1㎏)은 1만3,470원에서 1만128원으로 가격이 24.8% 내리며 최근 5년 내 가장 저렴한 가격을 보였습니다.
시금치(-23.0%), 배(-19.5%) 등 지난해 가격이 크게 오른 채소와 임산물류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통업태별 차례상 비용은 전통시장이 22만470원으로 예년과 같이 가장 낮았고 일반슈퍼는 23만3,789원, SSM 28만8,404원, 대형마트 30만1,414원 순이었습니다.
백화점은 43만1,243원으로 전통시장의 두 배에 가까운 비용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 조사 때와 비교하면 백화점에서의 차례상 준비 비용만 올랐고 전통시장, 일반슈퍼, SSM, 대형마트 모두 소폭 내렸습니다.
앞서 한국물가정보와 한국물가협회 조사에서도 올해 전통시장 차례상 비용은 작년보다 1%대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통시장은 대부분 품목이 다른 유통업태보다 저렴했으나 숙주(국산), 배, 밀가루, 청주는 대형마트 판매 가격이 더 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센터는 추석 1주 전 한 번 더 유통업별 제사용품 가격을 점검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물가 #전통시장 #추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준하(jju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