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관세 등 복합위기 돌파를 위해 향후 5년간 77조3천억원을 투자합니다.
또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대로 잡고, 60%에 해당하는 330만대를 전기차(EV), 하이브리드차(HEV) 등 친환경차로 채웁니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차 차종은 제네시스를 포함해 총 18개로 확대하고,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연산 규모를 50만대로 끌어올리는 등 글로벌 생산능력을 120만대 추가합니다.
현대차는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더 셰드에서 글로벌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등을 대상으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중장기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합니다.
현대차가 해외에서 인베스터데이를 연 것은 올해가 처음입니다.
먼저 현대차는 2026∼2030년 5개년간 77조3천억원을 투자하고,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8∼9%를 달성한다는 중장기 재무 전략을 발표합니다.
지난해 제시했던 70조3천억원보다 7조원 늘어난 중장기 투자 금액입니다.
투자 분야는 연구개발(R&D) 30조9천억원, 설비 38조3천억원, 전략 8조1천억원 등입니다.
현대차는 관세 등 변수를 고려해 올해 초 제시했던 '2025년 연결 기준 연간 가이던스'의 수치는 다소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전년 대비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는 올해 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2%포인트 상향합니다.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기존 7.0∼8.0% 대비 1%포인트 하향한 6.0∼7.0%로 설정합니다.
올해 투자 계획도 16조9천억원에서 16조1천억원으로 8천억원 줄입니다.
현대차는 관세 위기 극복을 위해 미국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합니다.
현대차의 미국 투자 금액은 2025∼2028년 기존 11조6천억원(88억달러)에서 15조3천억원(116억달러)으로 3조7천억원(28억달러) 늘어납니다.
이는 현지 생산 확대 및 로보틱스 생태계 구축 등을 위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260억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의 일환입니다.
현대차는 투자에 기반해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주행거리 확장형 전기차(EREV), 수소차 등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대폭 강화합니다.
먼저 전기차 캐즘 속 부상하고 있는 하이브리드차 라인업을 2030년까지 현재의 2배인 18개 이상으로 확대합니다. 라인업은 엔트리부터 중형, 대형, 럭셔리를 모두 포함합니다.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가 내년 후륜 기반이자 첫 하이브리드차를 출시하고, 엔트리 하이브리차 개발에도 나섭니다.
또 올해 출시된 신형 팰리세이드에서부터 탑재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확대 적용합니다.
현대차는 지역 특성에 맞춘 신형 전기차를 유럽과 중국, 인도에서도 선보입니다.
내년 유럽에선 소형 전기차 '아이오닉3'를 출시한다. 중국에서는 올해 준중형 전기 SUV '일렉시오'를, 내년에는 준중형 전기 세단을 내놓는다. 두 차종 모두 중국에서 생산됩니다.
2027년 인도 시장에서는 경형급 전기 SUV가 현지 고객을 만납니다.
현대차는 비용은 낮추면서도 에너지밀도, 안전 성능 등은 개선된 차세대 전기차 플랫폼 개발에도 박차를 가합니다.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처음 전략이 공개된 주행 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가 대표적으로, 해당 차량은 2027년 출시될 예정입니다.
현대차는 전기차 대비 55% 작은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해 EREV를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일 계획입니다.
현대차는 내연기관과 동등한 수준의 주행 성능과 내구성을 갖춘 차세대 수소전기차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또 2026년까지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페이스 카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내년 2분기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플레오스 커넥트'가 적용된 차량들도 선보일 예정입니다.
현대차는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로 2030년에는 총 555만대를 글로벌 시장에 판매할 계획입니다.
이는 올해 417만대와 비교해 33% 늘어난 수치로, 지난해 밝혔던 판매 목표와 동일합니다.
권역별로는 북미 26%, 인도 15%, 유럽 15%, 한국 13%, 중동 및 아프리카·중남미·중국 8% 등의 판매 비중을 유지할 방침입니다.
또 친환경차 판매량을 2030년 330만대(2025년 100만대)까지 끌어올려 친환경차 비중도 현재 25%에서 60%까지 끌어올릴 방침입니다.
특히 최대시장인 북미에서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올해 30%에서 2030년 77%로 늘릴 방침입니다.
현대차는 올해보다 증가한 판매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생산능력을 120만대 추가로 확보할 계획입니다.
먼저 미국 HMGMA의 연산 규모를 현재 30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립니다.
올해 4분기 완공돼 내년 가동되는 인도 푸네 공장의 연간 생산규모도 25만대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내년 1분기 울산 신공장 완공 후에는 연간 20만대의 전기차도 양산합니다.
현대차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현지 파트너와 협력해 CKD(반조립제품) 생산 거점도 확장해 25만대 이상의 생산능력을 추가로 확보합니다.
#현대차그룹 #친환경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주영(ju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