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메르스, 변종 아닌데 급속하게 확산된 이유는?
<출연 : 중앙대 약학대학 설대우 교수>
메르스 사태 이후 처음으로 10대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대전에서는 80대 남성이 숨졌는데요, 부산과 경기도 부천 등에서도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면서 메르스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 모시고 메르스에 대한 궁금한 점 알아보겠습니다.
설대우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나오셨습니다.
<질문 1> 현재 메르스 확진자는 87명입니다. 주말이면 메르스가 어느 정도 진정 국면에 들어설 것이란 예상과 달리, 좀처럼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그래서 메르스에 대한 의문점이 많습니다.
<질문 2> 정부가 공개한 확진환자가 발생하거나 경유한 병원은 총 29곳. 공개된 병원을 기피하면서 환자 수가 감소했다고 하는데, 메르스 환자 경유 병원 이용해도 되는 건가요?
<질문 2-1> 문제는 중요한 해당 병원에 진료가 예정돼 있지만, 메르스 공포 때문에 병원을 가지 않으려는 환자가 있다는 건데요. 어떻게 하는 것이 현명한 것일까? 그렇다면 메르스 환자가 머물렀던 시기에 해당 의료기관을 방문했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질문 3>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대형병원에서 대량으로 3차 감염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은 확진 환자가 34명으로 급격하게 늘어 '메르스 2차 확산'의 진원지가 됐습니다. 유독 대형병원에서 3차 감염 환자가 많이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4> 메르스의 증상은 고열, 기침, 호흡 곤란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메르스 1번, 2번 환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냥 감기 걸린 거랑 똑같다. 열 좀 나고, 감기 걸린 거랑 비슷하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감기 증상이 나타나면 무조건 메르스를 의심해야 하는지 판단이 잘 서지 않는데요. 일반감기와 메르스 증상, 어떻게 구별할 수 있나요?
<질문 5> 메르스 확진판정은 질병관리본부만 할 수 있었죠. 그런데 확진 판정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지자체 자체적으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온 나라를 들썩이게 만든 메르스, 확진 판정은 어떻게 이뤄지고 완치 기준은 무엇인가요?
<질문 5-1> 확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최종 확진 권한이 분산되면서 혼선의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자체에서 한 검사 결과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뒤집힌 사례가 몇 차례 있었기 때문인데, 지자체도 메르스 확진 판정 권한 부여,메르스 사태 진정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질문 6> 메르스 사태가 확산되면서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은 메르스에 감염된 것도 모른 채 자연 치유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면역력이 강하면 그만큼 메르스에 안전하다는 뜻이죠? 그래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식생활습관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중앙대 약학대학 설대우 교수>
메르스 사태 이후 처음으로 10대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대전에서는 80대 남성이 숨졌는데요, 부산과 경기도 부천 등에서도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면서 메르스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 모시고 메르스에 대한 궁금한 점 알아보겠습니다.
설대우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나오셨습니다.
<질문 1> 현재 메르스 확진자는 87명입니다. 주말이면 메르스가 어느 정도 진정 국면에 들어설 것이란 예상과 달리, 좀처럼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그래서 메르스에 대한 의문점이 많습니다.
<질문 2> 정부가 공개한 확진환자가 발생하거나 경유한 병원은 총 29곳. 공개된 병원을 기피하면서 환자 수가 감소했다고 하는데, 메르스 환자 경유 병원 이용해도 되는 건가요?
<질문 2-1> 문제는 중요한 해당 병원에 진료가 예정돼 있지만, 메르스 공포 때문에 병원을 가지 않으려는 환자가 있다는 건데요. 어떻게 하는 것이 현명한 것일까? 그렇다면 메르스 환자가 머물렀던 시기에 해당 의료기관을 방문했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질문 3>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대형병원에서 대량으로 3차 감염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은 확진 환자가 34명으로 급격하게 늘어 '메르스 2차 확산'의 진원지가 됐습니다. 유독 대형병원에서 3차 감염 환자가 많이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4> 메르스의 증상은 고열, 기침, 호흡 곤란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메르스 1번, 2번 환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냥 감기 걸린 거랑 똑같다. 열 좀 나고, 감기 걸린 거랑 비슷하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감기 증상이 나타나면 무조건 메르스를 의심해야 하는지 판단이 잘 서지 않는데요. 일반감기와 메르스 증상, 어떻게 구별할 수 있나요?
<질문 5> 메르스 확진판정은 질병관리본부만 할 수 있었죠. 그런데 확진 판정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지자체 자체적으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온 나라를 들썩이게 만든 메르스, 확진 판정은 어떻게 이뤄지고 완치 기준은 무엇인가요?
<질문 5-1> 확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최종 확진 권한이 분산되면서 혼선의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자체에서 한 검사 결과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뒤집힌 사례가 몇 차례 있었기 때문인데, 지자체도 메르스 확진 판정 권한 부여,메르스 사태 진정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질문 6> 메르스 사태가 확산되면서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은 메르스에 감염된 것도 모른 채 자연 치유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면역력이 강하면 그만큼 메르스에 안전하다는 뜻이죠? 그래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식생활습관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