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48년만에 DMZ 북한군 매설 지뢰 도발…왜?
<출연 :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북한군이 매설한 '목함지뢰' 폭발로 우리군 2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청와대는 즉각 북한의 사죄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는데요.
이번 사건으로 남북관계가 더 악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양욱 한국 국방안보 포럼 연구위원 모시고 이번 사태를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군이 매설한 '목함지뢰' 폭발로 우리군 2명이 중상을 입었습니다. 폭발 당시 영상을 봐도 폭발력이 상당한데 '목함지뢰'란 무엇이고 그 위력은 얼마인가요?
<질문 2> 어제 국방부는 이번 폭발사고를 북한의 소행으로 발표했습니다. 북한이 도발했다고 보는 증거는 무엇인가요?
<질문 3> 청와대는 "북한은 지뢰도발을 사죄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강경한 입장을 내놨죠? 이에 북한은 어떻게 대응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4> 북한이 지뢰를 매설한 의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 일각에선 전단 살포에 대한 보복 아니냐는 분석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국방부는 이번 사건을 설명하면서 <열상감시장비, TOD 화면>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폭발 당시 상황 영상은 찍혔는데 북한군이 지뢰를 매설한 장면은 찍히지 않았습니다. 군은 사각지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여간 찜찜한 게 아닙니다. 북한군이 지뢰 매설한 사실을 몰랐다는 게 말이 되는 것인가요?
<질문 6> 몰랐다면 더 큰 문제가 아닌가요? 노크귀순, 대기귀순 등 우리 군의 철책 경계가 허술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이는데요. 이제는 확실한 대책이 필요할 때입니다. 어떤 대책이 있을까요?
<질문 7> 이번 목함지뢰 사건으로 군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11년 만에 재개했습니다. 그리고 방송을 재개한 전방지역에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를 발령했는데요. <최고수준경계태세>는 무엇인가요?
<질문 7-1> 이전에도 <최고수준경계태세>가 발령된 적 있습니까?
<질문 18>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오늘 이번 사건과 관련해 "DMZ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한 작전을 실시할 것"이라고 했는데 정확히 어떻게 대응하겠다는 것인가요?
<질문 8-1> 만약 이 같은 작전을 실시할 경우 북한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질문 9> 북한의 도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북한이 계속 이 같은 도발을 하는 의도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10> 북한의 도발, 사전에 포착하고 대비할 수는 없는 것인가요?
지금까지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북한군이 매설한 '목함지뢰' 폭발로 우리군 2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청와대는 즉각 북한의 사죄와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는데요.
이번 사건으로 남북관계가 더 악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양욱 한국 국방안보 포럼 연구위원 모시고 이번 사태를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군이 매설한 '목함지뢰' 폭발로 우리군 2명이 중상을 입었습니다. 폭발 당시 영상을 봐도 폭발력이 상당한데 '목함지뢰'란 무엇이고 그 위력은 얼마인가요?
<질문 2> 어제 국방부는 이번 폭발사고를 북한의 소행으로 발표했습니다. 북한이 도발했다고 보는 증거는 무엇인가요?
<질문 3> 청와대는 "북한은 지뢰도발을 사죄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강경한 입장을 내놨죠? 이에 북한은 어떻게 대응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4> 북한이 지뢰를 매설한 의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 일각에선 전단 살포에 대한 보복 아니냐는 분석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국방부는 이번 사건을 설명하면서 <열상감시장비, TOD 화면>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폭발 당시 상황 영상은 찍혔는데 북한군이 지뢰를 매설한 장면은 찍히지 않았습니다. 군은 사각지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여간 찜찜한 게 아닙니다. 북한군이 지뢰 매설한 사실을 몰랐다는 게 말이 되는 것인가요?
<질문 6> 몰랐다면 더 큰 문제가 아닌가요? 노크귀순, 대기귀순 등 우리 군의 철책 경계가 허술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이는데요. 이제는 확실한 대책이 필요할 때입니다. 어떤 대책이 있을까요?
<질문 7> 이번 목함지뢰 사건으로 군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11년 만에 재개했습니다. 그리고 방송을 재개한 전방지역에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를 발령했는데요. <최고수준경계태세>는 무엇인가요?
<질문 7-1> 이전에도 <최고수준경계태세>가 발령된 적 있습니까?
<질문 18>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오늘 이번 사건과 관련해 "DMZ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한 작전을 실시할 것"이라고 했는데 정확히 어떻게 대응하겠다는 것인가요?
<질문 8-1> 만약 이 같은 작전을 실시할 경우 북한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질문 9> 북한의 도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북한이 계속 이 같은 도발을 하는 의도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10> 북한의 도발, 사전에 포착하고 대비할 수는 없는 것인가요?
지금까지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