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비리와 전쟁…공공기관 1천100곳 전수조사
[뉴스리뷰]
[앵커]
최근 공공기관에서 채용비리 의혹이 잇따르자 정부가 결국 칼을 빼들었습니다.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공공기관을 비롯해 지방공기업 등 공직유관단체 약 1천100곳의 최근 5년 간 채용업무를 전부 들여다볼 계획입니다.
조사결과 연루된 사람은 즉시 퇴출하고 채용자도 원칙적으로 채용을 무효화 하기로 했습니다.
정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공공부문에서 폐습적인 채용비리가 잇따르자 척결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끝까지 엄정대응 한다는 '무관용의 원칙' 아래 전체 공공기관의 채용업무 5년치를 전수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조사 대상은 중앙정부가 운영하는 330개 공공기관에 더해 지방공기업 149곳, 지방 출자·출연기관 600여곳 등 1천100곳에 이릅니다.
<김동연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공공부문에서 인사·채용비리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비상한 각오를 가지고 취업준비생을 가진 부모나 가족의 심정으로 근절대책을 마련…"
비리가 적발될 경우 직급과 상관없이 즉시 퇴출하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하고 인사청탁자는 실명과 신분을 모두 공개합니다.
또 채용비리와 관련된 부정 합격자는 원칙적으로 퇴출할 계획인데 기관장 책임 아래 소명되는 경우는 예외로 두기로 했습니다.
지난 10월 16일 전수조사 작업에 착수한 정부는 12월 말까지 조사를 끝마친다는 계획입니다.
심층조사를 거쳐 비리 개연성이 드러나는 경우에는 일선 지방검찰청에서 수사를 진행하고 대검찰청 반부패부가 지휘를 맡게 됩니다.
아울러 정부는 채용 직후 내부 감사를 의무화하고 채용비리 관련자는 5년 간 공공부문 입사지원 자격을 박탈하는 등 제도적 근거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최근 공공기관에서 채용비리 의혹이 잇따르자 정부가 결국 칼을 빼들었습니다.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공공기관을 비롯해 지방공기업 등 공직유관단체 약 1천100곳의 최근 5년 간 채용업무를 전부 들여다볼 계획입니다.
조사결과 연루된 사람은 즉시 퇴출하고 채용자도 원칙적으로 채용을 무효화 하기로 했습니다.
정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공공부문에서 폐습적인 채용비리가 잇따르자 척결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끝까지 엄정대응 한다는 '무관용의 원칙' 아래 전체 공공기관의 채용업무 5년치를 전수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조사 대상은 중앙정부가 운영하는 330개 공공기관에 더해 지방공기업 149곳, 지방 출자·출연기관 600여곳 등 1천100곳에 이릅니다.
<김동연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공공부문에서 인사·채용비리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비상한 각오를 가지고 취업준비생을 가진 부모나 가족의 심정으로 근절대책을 마련…"
비리가 적발될 경우 직급과 상관없이 즉시 퇴출하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하고 인사청탁자는 실명과 신분을 모두 공개합니다.
또 채용비리와 관련된 부정 합격자는 원칙적으로 퇴출할 계획인데 기관장 책임 아래 소명되는 경우는 예외로 두기로 했습니다.
지난 10월 16일 전수조사 작업에 착수한 정부는 12월 말까지 조사를 끝마친다는 계획입니다.
심층조사를 거쳐 비리 개연성이 드러나는 경우에는 일선 지방검찰청에서 수사를 진행하고 대검찰청 반부패부가 지휘를 맡게 됩니다.
아울러 정부는 채용 직후 내부 감사를 의무화하고 채용비리 관련자는 5년 간 공공부문 입사지원 자격을 박탈하는 등 제도적 근거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