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액상화 조사' 중간 발표…흔적 100곳 넘어
[뉴스리뷰]
[앵커]
포항 지진에서는 국내 처음으로 액상화 현상이 나타나 우려가 컸는데요.
당국의 지질 조사 중간 결과가 다음주에 나옵니다.
진앙에서 멀리 떨어진 포항 시내 곳곳에서도 액상화 흔적이 발견돼 조사 결과에 관심이 쏠립니다.
김종성 기자입니다.
[기자]
포항에서 지반 액상화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되는 가운데 정부가 1차 조사 대상지의 시추 작업을 이번주에 마무리합니다.
조사팀은 주말까지 액상화 의심지 10곳에서 지질 샘플 채취를 마치고 다음주에 중간 조사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정종제 /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 "액상화 현상을 발견했거나, 아니다…개략적인 이야기를 하고 만약 액상화가 발견됐다 하면 어떤 절차를 통해 앞으로 다른 조사를 하겠다는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샘플의 최종 분석 결과가 나오기까지 한달 가량 걸릴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진앙지 뿐만 아니라 포항 남구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100곳 이상의 액상화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연합뉴스TV 취재팀이 추가로 발견한 액상화 흔적입니다.
아직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곳으로 상당히 광범위합니다.
지하의 물과 흙이 섞였는데 수분이 마르지 않은 흔적도 보입니다.
주민들은 액상화 현상이 지반 약화와 연관성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특히 제철소 등 산업시설 주변과 주택 밀집지역에서도 액상화 흔적이 발견돼 2차 피해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지반 침하 피해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박창근 /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큰 빌딩은 암반까지 기초를 박거든요. 빌딩을 하나 삼킬 만한 공간을 땅속에서 만들 수 있느냐, 아니거든요."
아울러 정부는 포항에 건설 중인 지열발전소가 지진에 영향을 줬는지 국제 전문가 조사단을 꾸려 정밀진단에 나설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포항 지진에서는 국내 처음으로 액상화 현상이 나타나 우려가 컸는데요.
당국의 지질 조사 중간 결과가 다음주에 나옵니다.
진앙에서 멀리 떨어진 포항 시내 곳곳에서도 액상화 흔적이 발견돼 조사 결과에 관심이 쏠립니다.
김종성 기자입니다.
[기자]
포항에서 지반 액상화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되는 가운데 정부가 1차 조사 대상지의 시추 작업을 이번주에 마무리합니다.
조사팀은 주말까지 액상화 의심지 10곳에서 지질 샘플 채취를 마치고 다음주에 중간 조사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정종제 /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 "액상화 현상을 발견했거나, 아니다…개략적인 이야기를 하고 만약 액상화가 발견됐다 하면 어떤 절차를 통해 앞으로 다른 조사를 하겠다는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샘플의 최종 분석 결과가 나오기까지 한달 가량 걸릴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진앙지 뿐만 아니라 포항 남구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100곳 이상의 액상화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연합뉴스TV 취재팀이 추가로 발견한 액상화 흔적입니다.
아직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곳으로 상당히 광범위합니다.
지하의 물과 흙이 섞였는데 수분이 마르지 않은 흔적도 보입니다.
주민들은 액상화 현상이 지반 약화와 연관성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특히 제철소 등 산업시설 주변과 주택 밀집지역에서도 액상화 흔적이 발견돼 2차 피해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지반 침하 피해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
<박창근 /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큰 빌딩은 암반까지 기초를 박거든요. 빌딩을 하나 삼킬 만한 공간을 땅속에서 만들 수 있느냐, 아니거든요."
아울러 정부는 포항에 건설 중인 지열발전소가 지진에 영향을 줬는지 국제 전문가 조사단을 꾸려 정밀진단에 나설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