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측 '불가역적' 먼저 사용…맥락바뀌었는데 삭제안해"

[뉴스리뷰]

[앵커]

위안부 합의 검토 TF가 5개월간의 활동을 마치고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년 전 합의 내용 가운데 논란이었던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은 우리측이 먼저 사용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봉석 기자입니다.

[기자]

한일 위안부 합의 검토 TF가 지난 5개월간 총 20여차례의 회의 결과를 담은 약 30쪽 분량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는 비공개 자료를 포함해 2015년 12월 위안부 합의 이전 한일간 협상 내용이 담겼습니다.

<강경화 / 외교부 장관> "TF 위원들께서도 외교협상 내용의 공개가 외교적인 차원에서 가져올 부담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하였고, 대단히 신중하게 검토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그동안 논란이 됐던 합의문의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은 2015년 1월 제6차 국장급 협의에서 우리측이 먼저 사용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태규 / 위안부 합의 TF 위원장> "한국쪽은 사죄의 불가역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나, 당초 취지와는 달리 합의에서는 해결의 불가역성으로 의미가 변했습니다."

외교부는 잠정 합의 직후 '불가역적'이라는 표현의 삭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당시 청와대에 전달했지만 청와대는 이를 묵살했습니다.

국제사회에서 위안부 문제를 제기하지 않기로 약속했다는 오해를 불러온 점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실제로 청와대는 합의 후 외교부에 국제무대에서 위안부 관련 발언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하기도 했습니다.

또다른 논란인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문제도 정부가 소녀상은 민간단체 주도로 설치된 만큼 관여하기 어렵다는 걸 알면서도 합의 내용에 포함시켰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보고서는 일본 정부가 기금으로 내놓은 10억엔이 객관적인 기준 없이 정해졌다고 꼬집기도 했습니다.

TF는 결론적으로 위안부 합의가 피해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았고 정부 내 소통도 부족했으며, 박근혜 전 대통령의 책임도 적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봉석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