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회담, 포괄 합의 후 실무회담 이어질 듯

[뉴스리뷰]

[앵커]

내일 열리는 고위급 회담에서 남과 북의 당국자가 2년여 만에 마주하는 만큼, 그 성과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내심 이번 회담을 계기로 해, 각 분야별 후속 실무회담이 다양하게 열리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의 장을 넓히는 계기가 될 지 주목됩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일단 남북 고위급 회담의 주요 의제인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논의는 무리 없이 진행될 전망입니다.

남북한 최고 지도자가 각각 공개 요청하고 화답하면서, 큰 틀에선 합의가 이뤄진 것이나 다름 없기 때문입니다.

통일부는 회담에서 이 사안뿐 아니라, 이산가족 상봉과 군사적 긴장 완화 문제도 폭넓게 논의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북핵 문제가 의제가 될 가능성도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백태현 / 통일부 대변인> "회담은 확정된 회담 대책을 중심으로 해서 수석대표가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운용하게 될 것입니다."

이같은 기류가 시사하듯, 정부는 일단 고위급 회담에서 큰 틀에서의 합의를 이룬 뒤, 분야별 후속회담을 도모한다는 계획입니다.

대표단에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천해성 차관을 포함한 장·차관 3명이 포함된 것도 이러한 후속회담을 염두에 둔 포석입니다.

<조명균 / 통일부 장관> "이번에 (고위급 회담을) 하게 되면 앞으로 실무협의 같은 것을 계속 해야될 겁니다. 그런 것을 계속 원만하게 잘 해나가기 위해서 저희가 그렇게 좀 진용을 고려했습니다."

물론 의제가 '평창'에서 '남북관계 개선'으로 넘어가면, 논의의 진전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북한이 당장 접점을 찾기 어려운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완전 중단이나, 미군 자산의 한반도 배치 중지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남북 모두 서두르지 말고, 합의가 가능한 부분부터 천천히 풀어가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한방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자세보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특히 공통점에 대해서 당장 이행해야 될 사항과 단계적으로 이행해야 할 사항을 구분하면서 당국간에 점차적으로 신뢰를 쌓아나간다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추가 협의가 이어지도록 대화의 불씨를 살리는 모멘텀 마련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

연합뉴스TV 김혜영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