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열풍에 혼란스러운 각국 당국…美日 '제도화', 中 '규제'

[뉴스리뷰]

[앵커]

세계 주요국의 금융, 사법 당국은 일찌기 접하지 못한 미증유의 가상화폐 열풍에 혼란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본이 일찌감치 제도화에 앞장 선 데 비해 미국 등은 조심스러운 선규제 움직임을 보였고, 중국은 거래 제한 등 적극적 규제를 앞세웠습니다.

김중배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는 가상화폐와 관련해 비트코인은 사기라고 말했던 걸 후회한다며 앞선 발언을 철회했습니다.

스스로 비트코인에 관심이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암호화된 가상화폐가 거래의 수단으로 정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어느 정도 인정한 말입니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가상화폐를 향한 투자 열풍은 가상화폐의 본격적 제도화를 앞당기리란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일본입니다.

지난해 4월 가상화폐를 결제수단으로 허용한 일본은 3개월 뒤 소비세 8%를 폐지했으며, 9월엔 세계 최초로 11개 가상화폐 거래소의 사업을 승인했습니다.

다만 최근 과열 양상으로 흐르자 막대한 차익을 올린 이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미국은 거래차익 감시 등 정부 규제 강화를 조건으로 내걸며 가상화폐 유통을 점차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시카고 옵션거래소는 이미 지난해 12월부터 비트코인 선물 거래를 시작했고, 캐나다와 호주 등 나라들도 이를 증권으로 인정하는 법제화에 가세했습니다.

반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입지를 키우고 있는 중국은 강경한 규제책을 펴고 있습니다.

지난해 9월 가상화폐 펀딩을 불법으로 규정한 데 이어 관련 계좌 개설을 금지했고, 비트코인의 채굴행위도 전면 금지하리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금융시장의 주무대에 혜성처럼 등장한 가상화폐를 바라보는 시각은 여전히 혼란스럽습니다.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은 가상화폐가 나쁜 종말을 맞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내다봤습니다.

연합뉴스 김중배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