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 직전 매도"…갈팡질팡 정책에 도덕적 해이까지
[뉴스리뷰]
[앵커]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에 관여했던 금융감독원 직원이 대책 발표 직전에 가상화폐를 팔아 50%가 넘는 차익을 거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부 부처간 정책이 엇박자를 내는 상황에서 도덕적 해이 사례까지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가상화폐 시장은 정부의 대책 발표가 혼선을 빚으면서 온탕과 냉탕을 오갔습니다.
시장은 정부 관계자의 말 한마디에도 롤러코스터를 탔습니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의 거래소 폐쇄 가능성 발언에 폭락했다가, 청와대가 확정된 사안은 아니라고 하면서 다시 회복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정부 가상화폐 대책에 관여했던 금융감독원 직원 A씨가 정부 규제대책 발표 직전에 이를 판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국무조정실로 파견간 A씨는 1천300여만원을 투자한 뒤 지난해 12월 11일 매도해 700여만원의 차익을 얻었습니다.
금감원은 직무 관련성 여부를 확인 중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 조사를 마무리해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중소벤처기업부는 벤처캐피탈을 통해 가상화폐 거래소에 412억원을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습니다.
다른 부처가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소 투자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지상욱 / 바른정당 의원> "개미투자자는 정말 등골이 휘고 그 와중에 정부는 투자를 하고, 정부 공직자는 그런 내용을 사전에 안 것처럼 매도를 하고…"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가상화폐와 관련해 공무원들을 전수조사해야 한다는 청원도 올라왔습니다.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이 갈팡질팡하는데다 일부 관련자들의 도덕적 해이까지 드러나면서 혼란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에 관여했던 금융감독원 직원이 대책 발표 직전에 가상화폐를 팔아 50%가 넘는 차익을 거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부 부처간 정책이 엇박자를 내는 상황에서 도덕적 해이 사례까지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가상화폐 시장은 정부의 대책 발표가 혼선을 빚으면서 온탕과 냉탕을 오갔습니다.
시장은 정부 관계자의 말 한마디에도 롤러코스터를 탔습니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의 거래소 폐쇄 가능성 발언에 폭락했다가, 청와대가 확정된 사안은 아니라고 하면서 다시 회복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정부 가상화폐 대책에 관여했던 금융감독원 직원 A씨가 정부 규제대책 발표 직전에 이를 판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국무조정실로 파견간 A씨는 1천300여만원을 투자한 뒤 지난해 12월 11일 매도해 700여만원의 차익을 얻었습니다.
금감원은 직무 관련성 여부를 확인 중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 조사를 마무리해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중소벤처기업부는 벤처캐피탈을 통해 가상화폐 거래소에 412억원을 투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습니다.
다른 부처가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소 투자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지상욱 / 바른정당 의원> "개미투자자는 정말 등골이 휘고 그 와중에 정부는 투자를 하고, 정부 공직자는 그런 내용을 사전에 안 것처럼 매도를 하고…"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가상화폐와 관련해 공무원들을 전수조사해야 한다는 청원도 올라왔습니다.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이 갈팡질팡하는데다 일부 관련자들의 도덕적 해이까지 드러나면서 혼란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