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조기연 민주당 법률위 부위원장·박용찬 전 국민의힘 공보메시지단장>
잠시 후 오전 10시부터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기자들과의 자유롭게 질의응답이 오가는 ‘타운홀 미팅' 방식으로 어떤 질문과 답변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관련내용 포함한 정치권 이슈, 조기연 민주당 법률위 부위원장, 박용찬 전 국민의힘 공보메시지단장과 함께 짚어봅니다.
두 분,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이재명 대통령이 잠시 후 오전 10시부터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먼저 지난 30일 간의 이재명 정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이 대통령, 취임 후 매일 SNS에 '대국민보고' 형식으로 국정 현안과 일정을 공유하고, 국무회의 역시 기존의 '대통령 발언 중심'에서 벗어나 질의응답이 오가는 양방향 회의로 전환됐습니다. 또 각종 참사 유족을 직접 만나거나, 사전 조율 없이 민원인을 면담하기도 했는데, 이런 이 대통령의 소통 방식, 어떻게 보고 계십니가?
<질문 3> 이 대통령, 오늘 기자회견을 앞두고도 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지난 30일, 5,200만 국민의 간절한 열망과 소망을 가슴에 새겼던 치열한 시간이었다"고 자평했고요. 오늘 회견에 대해선 "주권자 국민의 질문에 겸허히 답하겠다"는 각오를 남기기도 했는데, 이런 이 대통령의 발언 어떻게 들으셨어요?
<질문 4> 오늘 기자회견 이야기를 좀 짚어보면요. 일반적으로 대통령들의 기자회견이 100일을 기점으로 열렸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빠른 기자회견입니다. 이른 기자회견의 배경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이번 회견은 이 대통령이 간단히 모두발언을 하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될 예정입니다. 질의응답은 사전조율을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일단 모두 발언에서 이 대통령,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까요?
<질문 6> 오늘 기자회견은 민생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세 분야로 나눠 진행 되고요. 마지막엔 주제 제한 없는 다양한 질의응답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먼저 민생경제 분야에선 어떤 이야기가 오가게 될까요?
<질문 7> 정치외교 분야에선 역시나 한미 정상회담과 G7 성과, 또 코 앞으로 다가온 관세 문제와 최근 트럼프가 예고한 국방비 증액 요구 문제에 대한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질문 8> 특히 야당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김민석 총리 후보자 인준에 대한 대통령의 명확한 입장이 나올지도 주목되거든요.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9> 사회 분야에선 검찰 개혁이 최근 화두로 떠오른 만큼 이에 대한 질의응답도 오갈 걸로 예상되는데요, 이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유동(kimpd@yna.co.kr)
잠시 후 오전 10시부터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기자들과의 자유롭게 질의응답이 오가는 ‘타운홀 미팅' 방식으로 어떤 질문과 답변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관련내용 포함한 정치권 이슈, 조기연 민주당 법률위 부위원장, 박용찬 전 국민의힘 공보메시지단장과 함께 짚어봅니다.
두 분,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이재명 대통령이 잠시 후 오전 10시부터 취임 30일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먼저 지난 30일 간의 이재명 정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이 대통령, 취임 후 매일 SNS에 '대국민보고' 형식으로 국정 현안과 일정을 공유하고, 국무회의 역시 기존의 '대통령 발언 중심'에서 벗어나 질의응답이 오가는 양방향 회의로 전환됐습니다. 또 각종 참사 유족을 직접 만나거나, 사전 조율 없이 민원인을 면담하기도 했는데, 이런 이 대통령의 소통 방식, 어떻게 보고 계십니가?
<질문 3> 이 대통령, 오늘 기자회견을 앞두고도 SNS에 글을 올렸습니다. "지난 30일, 5,200만 국민의 간절한 열망과 소망을 가슴에 새겼던 치열한 시간이었다"고 자평했고요. 오늘 회견에 대해선 "주권자 국민의 질문에 겸허히 답하겠다"는 각오를 남기기도 했는데, 이런 이 대통령의 발언 어떻게 들으셨어요?
<질문 4> 오늘 기자회견 이야기를 좀 짚어보면요. 일반적으로 대통령들의 기자회견이 100일을 기점으로 열렸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빠른 기자회견입니다. 이른 기자회견의 배경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이번 회견은 이 대통령이 간단히 모두발언을 하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될 예정입니다. 질의응답은 사전조율을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일단 모두 발언에서 이 대통령,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까요?
<질문 6> 오늘 기자회견은 민생경제, 정치·외교, 사회·문화 세 분야로 나눠 진행 되고요. 마지막엔 주제 제한 없는 다양한 질의응답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먼저 민생경제 분야에선 어떤 이야기가 오가게 될까요?
<질문 7> 정치외교 분야에선 역시나 한미 정상회담과 G7 성과, 또 코 앞으로 다가온 관세 문제와 최근 트럼프가 예고한 국방비 증액 요구 문제에 대한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질문 8> 특히 야당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김민석 총리 후보자 인준에 대한 대통령의 명확한 입장이 나올지도 주목되거든요.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9> 사회 분야에선 검찰 개혁이 최근 화두로 떠오른 만큼 이에 대한 질의응답도 오갈 걸로 예상되는데요, 이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유동(kimp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