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12·3 비상 계엄 전후를 재추적하고 있는 내란 특검팀이, 계엄 과정의 위법성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이른바 안가 회동 핵심 멤버인 김주현 전 민정수석, 김성훈 전 경호처장을 동시 소환했는데요.

내일(5일),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앞두고 수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채연 기자입니다.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을 잇따라 부른 내란 특검팀이, 김주현 전 민정수석을 소환했습니다.

<김주현/전 민정수석> "수고 많으십니다. (국무회의 관련해서 조사받으러 오신 거 맞나요?) …. (사후 문건 관련해 조사받으러 오신 거 맞습니까?) …"

김 전 수석은 계엄 해제 뒤 뒤늦게 새로 만들어졌다 폐기된 선포문 관련해,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과 논의했단 의혹에 연루돼 있습니다.

특검팀은 계엄 선포 뒤 김 전 수석이 강 전 실장에게,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해야 되는데 관련 문서가 있는지' 물었단 진술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계엄을 사후에 정당화시키려 한 건 아닌지 의심하고 있는 것입니다.

김 전 수석이 박성재 전 법무장관, 이상민 전 행안장관, 이완규 법제처장과 가진 '안가 회동'을 두고도, 계엄 후속책을 논의한 건지 모임 추진 경위 등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윤 전 대통령 체포 방해 핵심 인물로 꼽혔던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도 특검에 출석했습니다.

<김성훈/전 대통령경호처 차장> "(체포 저지 관련 윤 전 대통령 지시 받았습니까?) ..."

윤 전 대통령의 체포 저지 혐의는 지난 1차 조사 당시 중단된 바 있는데, 오는 토요일 2차 조사를 앞두고 공모 관계에 있는 김 전 차장을 상대로 혐의 다지기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김 전 차장이 부하 직원들에게 비화폰 관련 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혐의도 보강 조사가 이뤄진 걸로 전해졌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측근을 연이어 조사한 특검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도 조만간 소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대면 조사 직전까지 계엄 선포 과정에서의 위법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 뒤 2차 소환에서도 강도 높은 조사를 이어갈 걸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이채연입니다.

[영상취재 이재호 이정우]

[영상편집 김소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채연(touch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