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나라와 일본이 어제(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에서 '군함도' 후속 조치 이행을 두고 맞붙었습니다.

초유의 과거사 표 대결까지 펼쳤지만 정식 의제로 채택되지 못하고 실패로 끝났습니다.

정부는 내년에 위원국으로서 또 다시 문제 제기를 할 방침인데요, 김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파리에서 열린 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일본 메이지 산업근대화시설, 일명 '군함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후속 조치를 두고 한일이 대립각을 세웠습니다.

<하위영/외교부 유네스코TF 팀장> "제가 아는 한 '이번 군함도 이행조치 건'은 종결된 건이 아닙니다."

우리 측은 그간 일본이 조선인 '강제동원' 등 전체 역사를 반영하지 않고 있는 점을 꾸준히 지적해 왔습니다.

실제 지난 10년 간 일본에 충실한 조치를 권고하는 결정문이 4개나 채택됐지만, 도쿄센터 전시물 등에서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우리 측은 이번 유네스코 회의에서 근대산업시설 문제를 정식 의제로 채택해 일본이 이행 약속을 제대로 지켰는지 따져보겠다는 겁니다.

반면, 일본 측은 결정 내용을 전부 이행했으며 이 문제는 양자 차원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맞섰습니다.

일본이 해당 안건이 삭제된 수정안을 제출했고, 곧바로 우리 측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표결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한일간 대결에 부담을 느낀 회원국 다수가 기권한 채 결과는 7:3.

일본의 수정안이 가결되면서 우리 측 안은 정식 의제로 채택되지 못했습니다.

외교부는 의제가 채택되지 못한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양자 및 다자차원에서 일본이 세계유산위의 관련 결정과 스스로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내년에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으로서 이 문제를 다시 정식으로 제기할 가능성도 나옵니다.

유네스코서 벌어진 사상 초유의 한일간 표 대결.

군함도를 둘러싼 한일 과거사 문제가 수교 60주년을 맞은 양국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입니다.

[화면출처 유네스코]

[영상편집 김도이]

[그래픽 김두태]

#한일외교 #외교부 #한일관계 #유네스코 #군함도 #세계유산위원회 #과거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