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오늘(11일) 장 초반 코스피가 3,200선을 넘어서며 연고점을 재차 경신한 후 출렁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12일 거래일 만에 장중 800선을 넘어섰는데요, 이러한 흐름 어떻게 보세요?

<질문 2> 간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우량주 위주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동반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0.4% 올랐고,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0.2%와 0.09% 오르며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에 5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지만, 시장엔 영향을 주지 않는 모습이에요?

<질문 3>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의 강세가 돋보입니다. '엔비디아'는 0.7% 상승하면서 종가 기준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 고지에 올라섰습니다. AI 대장주 엔비디아 강세에 국내 반도체주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질문 4>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의 무역 상대국에 15% 또는 20%의 관세를 일괄적으로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시장은 크게 아랑곳하지 않고 있는 분위기인데,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 이어질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해 오는 8월 1일부터 3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통보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간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양상이에요?

<질문 6>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오늘 새벽 11만 6,000달러, 우리 돈 약 1억 6,000만 원에 거래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5월 첫 11만 달러를 돌파하고, 어제 11만 2,000달러 경신에 이어 하루 만에 또 신기록을 쓴 건데, 이러한 흐름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다음 주 미국 하원이 '크립토 위크'를 개최하며 주요 가상자산 법안 3건을 집중 논의합니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논의하는 건지 내용을 설명해 주세요. 결과에 따라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 같아요?

<질문 8> 주제를 바꿔볼게요. 어제(10일) 기준금리가 연 2.50%로 동결됐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동결을 통해 과도한 (금리) 인하 기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택 시장의 과열 심리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하며 부동산 상황에 대해 여러 우려를 쏟아내기도 했는데, 어떻게 들으셨어요?

<질문 9> 지난해엔 8월 금리를 동결한 뒤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해서 10월에 금리인하를 단행했었습니다. 이 총재는 “이번에는 그렇게 해피엔딩이 금방 올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는데, 어떻게 예상하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