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해마다 극한 폭우로 인한 피해가 반복되고 있는데요.
기후 위기와 그에 따른 기상 이변이 일상이 된 요즘, 재난대응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임광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일 새벽, 순식간에 물벼락이 쏟아지며 피해가 속출한 경기도 가평.
이곳에서 나고자란 주민도 60년 동안 이런 피해는 처음이라고 말합니다.
<하철호/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주민> "산사태로 인해서 용추계곡하면 용추폭포가 유명한데 거기도 물이차고, 옆으로 길이나고, 개울이 생겨서 완전히 지형지물이 바뀌었습니다. 지도에서 봐도 틀릴거에요."
0시를 넘기면서 빗줄기는 점점 굵어졌고 새벽 4시 무렵에는 시간당 40㎜가 넘는 집중호우가 몰아쳤습니다.
불과 4시간만에 누적 강수량은 160㎜를 넘겼습니다.
앞선 17일 충남 서산에선 시간당 114㎜의 비가 내리며 기존 기록을 26년 만에 갈아치웠고.
같은 날 광주에서는 하루강수량이 426㎜로 1939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많았습니다.
문제는 이같은 역대급 폭우가 이제 더 이상 이례적인 일이 아니라는 겁니다.
<김해동 /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 "200년 빈도가 아니라, 500년 빈도, 뭐 3,000년 빈도라고 평가되는 그런 현상까지도 지금은 거의 매년 되풀이해서 발생하는 그런 시기에 놓여 있습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후 위기 시대에 맞는 '도시 계획 재설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해동 /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 "저지대라든가 하천변이라든가 이런 곳에 사람들이 머물지 않을 것, 그리고 그런 곳에 재산가치가 높은 것들이 위치하지 않도록 구조를 재분포시키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존 재난대응 시스템 재정비와 함께,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대응 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문현철 /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호남대 교수)> "(대피) 문자만 보낼 것이 아니라 어디로 대피하라, 어느 초등학교, 어느 체육관으로 어디로 대피하라, 이런 것들이 반드시 동행 수반이 되어야 하는데, 사전에 시스템을 잘 구축해야 된다…"
재난 상황에서 공무원들은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이 같은 과잉대응이 오히려 안전한 것이라는 국민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광빈(june80@yna.co.kr)
해마다 극한 폭우로 인한 피해가 반복되고 있는데요.
기후 위기와 그에 따른 기상 이변이 일상이 된 요즘, 재난대응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임광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일 새벽, 순식간에 물벼락이 쏟아지며 피해가 속출한 경기도 가평.
이곳에서 나고자란 주민도 60년 동안 이런 피해는 처음이라고 말합니다.
<하철호/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주민> "산사태로 인해서 용추계곡하면 용추폭포가 유명한데 거기도 물이차고, 옆으로 길이나고, 개울이 생겨서 완전히 지형지물이 바뀌었습니다. 지도에서 봐도 틀릴거에요."
0시를 넘기면서 빗줄기는 점점 굵어졌고 새벽 4시 무렵에는 시간당 40㎜가 넘는 집중호우가 몰아쳤습니다.
불과 4시간만에 누적 강수량은 160㎜를 넘겼습니다.
앞선 17일 충남 서산에선 시간당 114㎜의 비가 내리며 기존 기록을 26년 만에 갈아치웠고.
같은 날 광주에서는 하루강수량이 426㎜로 1939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많았습니다.
문제는 이같은 역대급 폭우가 이제 더 이상 이례적인 일이 아니라는 겁니다.
<김해동 /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 "200년 빈도가 아니라, 500년 빈도, 뭐 3,000년 빈도라고 평가되는 그런 현상까지도 지금은 거의 매년 되풀이해서 발생하는 그런 시기에 놓여 있습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후 위기 시대에 맞는 '도시 계획 재설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해동 /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 "저지대라든가 하천변이라든가 이런 곳에 사람들이 머물지 않을 것, 그리고 그런 곳에 재산가치가 높은 것들이 위치하지 않도록 구조를 재분포시키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존 재난대응 시스템 재정비와 함께,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대응 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문현철 /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호남대 교수)> "(대피) 문자만 보낼 것이 아니라 어디로 대피하라, 어느 초등학교, 어느 체육관으로 어디로 대피하라, 이런 것들이 반드시 동행 수반이 되어야 하는데, 사전에 시스템을 잘 구축해야 된다…"
재난 상황에서 공무원들은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이 같은 과잉대응이 오히려 안전한 것이라는 국민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광빈(june8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