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연합뉴스TV는 지난해 평양 작전에 투입된 무인기의 보안 장치가 부실했다는 의혹을 단독보도 한 바 있는데요.

또 다른 부실 정황이 취재됐습니다.

데이터 자동 삭제 기능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건데요.

특검은 준비단계에서부터 우려가 나왔다는 군 관계자의 진술을 토대로 수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채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북한 평양에서 추락한 걸로 알려진 '저가형 소형 정찰용 무인기'.

'KCMVP', 이른바 국정원의 암호 모듈 검증 절차를 밟아야 한단 국방부 내부 지침에도, 암호화가 안 된 중국산 항전 장비가 탑재돼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습니다.

해당 기종엔 추락과 같은 강한 충격이 감지되면 기체 내부 모든 경로와 궤적 데이터가 자동으로 사라지는 기능이 내장돼 있었는데, 연합뉴스TV 취재 결과, 이 기능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것으로 새롭게 파악됐습니다.

적에 발각되더라도, 민감한 군사 기밀 정보가 탈취되지 않도록 자체적으로 삭제되도록 한 안전장치가 먹통이 된 겁니다.

드론작전사령부 관계자는 자동 삭제기능이 훈련 단계부터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전했는데, 평양 무인기 작전을 앞둔 실험 단계에서도 해당 기능의 정상 작동에 의문을 표한 것으로 취재됐습니다.

해당 무인기는 정상 작동 여부가 확인이 안 됐음에도 작전에 투입됐습니다.

외환 수사에 집중하고 있는 내란 특검은 이 부분이 의도된 것은 아닌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현재 무인기 작전을 둘러싸고 지휘부 간 진술이 엇갈리는 만큼, 특검도 진위를 따지기 위한 진술 검증에 주력하는 걸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지난해 10월 작전에 동원됐다 돌아온 무인기들의 비행 경로에 대해 삭제하란 지시가 있었단 진술도 특검이 파악했는데, 이 부분도 주요 수사 대상에 오른 상태입니다.

연합뉴스TV 이채연입니다.

[영상취재 이재호]

[영상편집 김세나]

[그래픽 최현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채연(touch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