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군부대가 밀집해 있는 강원 접경지역 주민들은 군사시설 보호구역 규제 때문에 본인 소유의 땅에서도 이중 삼중의 규제로 고초를 겪고 있습니다.

강원도가 안보를 이유로 희생을 강요받았던 접경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군사규제 개혁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상현 기자입니다.

[기자]

170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강원도 양구군 안대리 마을입니다.

평화로운 시골 마을 같지만, 마을 한복판에 위치한 군 비행장 때문에 소음과 진동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김준경 / 양구군 안대리 이장> "진동까지 해서 창문이 울리거나 활주로 내에 저공비행을 했을 때 분진으로 인해가지고 풀씨 같은 게 논밭으로 날아오니까…"

지난 1958년 군 비행장이 들어선 이후로 주민들은 70년 가까이 재산권 행사도 못 하고 있습니다.

고도 제한은 45m이지만 실제로는 2층 건물 하나를 짓기 위해서도 군부대에 사정해서 허락받아야 하는 실정입니다.

<손창남 / 양구읍 이장협의회장> "행정적으로 허가 절차 이외에 군부대하고 또 협조해야되는 부분이 한 가지 더 추가되는 거예요. 그만큼 시간도 걸리고 비용도 많이 생기고."

양구지역 대표 관광지인 두타연은 개방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민간인통제선 북쪽에 있어 여전히 군의 허락 없인 출입이 불가능합니다.

<서흥원 / 양구군수> "양구군 행정구역의 50% 이상이 다 군사보호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강원 접경지역 대부분이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인한 각종 규제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러한 고충 해결을 위해 강원도가 국방부에 군사보호구역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양구를 비롯해 철원과 고성 3개 지역으로 축구장 2천260개에 달하는 16.1㎢를 주민에게 돌려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김진태 / 강원도지사> "우리 국방과 안보를 위해서 특별한 희생해주신 이런 분들에 대해서는 이제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할 때다. 그에 앞서서 규제부터 걷어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랜 숙원을 해결해달라는 접경지역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쥔 국방부가 전향적인 검토에 나설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

[영상취재 박종성]

#개혁 #접경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 #군사규제 #개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상현(idealtyp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