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러시아 캄차카반도 인근에서 규모 8.8의 초강진이 발생했습니다.
그 여파로 러시아와 일본에서는 쓰나미가 관측됐고 주민들이 비상 대피했습니다.
미국도 괌과 하와이 일부 해안에도 쓰나미 경보가 내려졌습니다.
국제부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강은나래 기자
[기자]
네. 유럽지중해지진센터 등에 따르면 현지 시간으로 오늘(30일) 오전 9시 24분쯤 캄차카반도 동쪽 바다에서 규모 8.8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 여파로 쓰나미가 사할린 세베로-쿠릴스크 지역을 강타해 해안선 일부가 침수되고, 주민들이 고지대로 대피했다고 현지 언론이 속보로 전했습니다.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 절반에도 쓰나미 주의보 혹은 경보가 내려졌고, 주민들이 대피했습니다.
일본 기상청은 우리 시간으로 오전 9시 40분쯤 홋카이도와 혼슈 태평양 연안부에 쓰나미 경보를, 규슈와 시코쿠 태평양 연안부와 홋카이도 북부 등에는 주의보를 각각 내렸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도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중단했습니다.
홋카이도 동부 해안에 약 30cm 높이의 쓰나미가 도달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주민 피해 등 자세한 현지 상황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 동부에 한때 최고 높이 3m의 쓰나미가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NHK 등 현지 매체들은 재난 방송을 통해 '피난해라', '도망쳐라' 라는 문구를 계속 내보내고 있습니다.
괌과 하와이 등지에도 1~3m 높이의 쓰나미 주의보와 경보가 발령돼 주민들이 대피했고, 필리핀 해안 등에도 0.3∼1m의 쓰나미가 예보됐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일본과 인접한 우리나라는 지진 여파에서 안전한 겁니까?
[기자]
캄차카반도에서 발생한 강진의 여파가 한반도 동해안까지 일부 미칠 전망입니다.
한국과 북한의 동해안에 0.3m미만 쓰나미가 예보됐고, 오후 3시쯤 울릉도 주변의 수위가 올라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기상청은 높은 물결이 한반도까지 밀려오는 데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우리나라에 큰 피해가 발생하진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반도와 캄차카반도 간 거리가 있는 데다가 사이에 일본이 있어 지진해일이 오더라도 약하게 올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다만, 추가 지진 발생 여부에 따라 상황은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캄차카반도에선 지난 25일에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습니다.
캄차카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합니다.
반도 전체에 활화산만 29개, 휴화산 포함 160여 개의 화산이 밀집해있습니다.
지금까지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기상청 #지진 #일본 #한국 #울릉도 #하와이 #캄차카 #쓰나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은나래(rae@yna.co.kr)
러시아 캄차카반도 인근에서 규모 8.8의 초강진이 발생했습니다.
그 여파로 러시아와 일본에서는 쓰나미가 관측됐고 주민들이 비상 대피했습니다.
미국도 괌과 하와이 일부 해안에도 쓰나미 경보가 내려졌습니다.
국제부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강은나래 기자
[기자]
네. 유럽지중해지진센터 등에 따르면 현지 시간으로 오늘(30일) 오전 9시 24분쯤 캄차카반도 동쪽 바다에서 규모 8.8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 여파로 쓰나미가 사할린 세베로-쿠릴스크 지역을 강타해 해안선 일부가 침수되고, 주민들이 고지대로 대피했다고 현지 언론이 속보로 전했습니다.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 절반에도 쓰나미 주의보 혹은 경보가 내려졌고, 주민들이 대피했습니다.
일본 기상청은 우리 시간으로 오전 9시 40분쯤 홋카이도와 혼슈 태평양 연안부에 쓰나미 경보를, 규슈와 시코쿠 태평양 연안부와 홋카이도 북부 등에는 주의보를 각각 내렸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도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중단했습니다.
홋카이도 동부 해안에 약 30cm 높이의 쓰나미가 도달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주민 피해 등 자세한 현지 상황은 아직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 동부에 한때 최고 높이 3m의 쓰나미가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NHK 등 현지 매체들은 재난 방송을 통해 '피난해라', '도망쳐라' 라는 문구를 계속 내보내고 있습니다.
괌과 하와이 등지에도 1~3m 높이의 쓰나미 주의보와 경보가 발령돼 주민들이 대피했고, 필리핀 해안 등에도 0.3∼1m의 쓰나미가 예보됐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일본과 인접한 우리나라는 지진 여파에서 안전한 겁니까?
[기자]
캄차카반도에서 발생한 강진의 여파가 한반도 동해안까지 일부 미칠 전망입니다.
한국과 북한의 동해안에 0.3m미만 쓰나미가 예보됐고, 오후 3시쯤 울릉도 주변의 수위가 올라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기상청은 높은 물결이 한반도까지 밀려오는 데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우리나라에 큰 피해가 발생하진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반도와 캄차카반도 간 거리가 있는 데다가 사이에 일본이 있어 지진해일이 오더라도 약하게 올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다만, 추가 지진 발생 여부에 따라 상황은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캄차카반도에선 지난 25일에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습니다.
캄차카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합니다.
반도 전체에 활화산만 29개, 휴화산 포함 160여 개의 화산이 밀집해있습니다.
지금까지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기상청 #지진 #일본 #한국 #울릉도 #하와이 #캄차카 #쓰나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은나래(ra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1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