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관세협상 결과를 두고 정치권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민주당은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 성과라고 호평한 반면, 국민의힘은 협상시한에 쫓겨서 많은 양보를 한 느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국회 연결해 여야 반응 들어보겠습니다.

윤솔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는 달랐다"며 "국민의 기대에 응답한 값진 성과"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오전 정책조정회의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김병기/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역시 이재명 정부입니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는 옳았습니다…이번 협상을 통해 한미 간의 산업협력 더욱 강화되고 한미동맹도 더욱 확고해질 것입니다."

김 대행은 또 쌀과 소고기 추가 개방은 없다는 정부 발표에, "농민의 생존권과 식량 안보를 지켜내서 민생 회복에 대한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시켜줬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대행은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해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입법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산자위나 농해수위 등 민주당 상임위원들도 입장을 내고, 반도체, 의약품 최혜국 대우와 조선협력 펀드, 농축산물 보호 등 성과를 부각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협상 내용과 관련해서 의문점을 제기했습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오전 비대위 회의 공개 발언 확인하시겠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15% 관세율로 합의가 됐다는 점은 일본이나 EU와 동일한 차원에서 관세율을 부담되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이라고 생각은 합니다…그리고 협상 시한에 쫓겨서 많은 양보를 했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송 위원장은 의문점의 근거로 대미 투자 금액이 우리 GDP 규모로 봤을 때 일본이나 EU에 비해 부담이 크다는 점, 또 자동차 관세가 0에서 15%로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었습니다.

송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메시지에 농축산물 개방과 관련한 언급이 있는 만큼 "정부가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상회담을 얻어내기 위해 관세 협상에서 부담을 많이 하게 된 건지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방송 3법 등을 반드시 7월 임시국회 내에서 처리하겠다는 민주당 입장과 이에 반대하는 야당의 입장이 연일 충돌하고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민주당은 다음 달 4일과 5일 본회의에서 방송3법과 양곡법, 농안법, 그리고 2차 상법개정안과 노란봉투법을 통과시키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여당은 이번 주를 이른바 '민생 개혁 2차 슈퍼위크'로 이름 붙이고, 이들 법안이 곧 심사를 마치고 본회의에 오를 거라고 예고했습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무제한 토론, 필리버스터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인데요.

국민의힘은 필리버스터에 나설 주자들을 정하고, 법안에 강력하게 반대한다는 입장을 알리겠다는 방침입니다.

민주당도 여기에 대응해 방송법을 맨 앞에 두고 법안을 차례로 통과시키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실상 민주당에 주도권이 있는 만큼 국민의힘은 본회의 일정을 앞두고 물밑 만남이나 소통 시도도 이어가려는 분위깁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현장연결 김영철]

[영상편집 송아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솔(solemi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