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한미 정상회담이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안보 분야 협상이 이번에 빠진 만큼 정상 간 회담에서 논의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

자세한 내용,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과 다뤄보겠습니다.

<질문 1> 한미 관세협상 타결 뒷이야기부터 볼게요. 양국 경제수장인 재무장관 회담이 열리기도 전에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 협상단의 면담이 이뤄지면서 협상은 극적 타결됐습니다. 협상단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이나 총리가 아니면 직접 협상하지 않는데 한국은 각료급과 협상했다며, 그만큼 한국을 존중하고 중요시한다는 방증이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는데요. 깜짝 등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의 기술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 이런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2>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된 다음 날 두 나라의 외교 수장이 만났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2주 안에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예고했는데, 이번 회담에서 일정 조율을 시작했습니다. 정상회담을 위해선 실무 단위에서 협의해야 사안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질문 2-1> 정부 고위 관계자는 '2주'를 넘길 가능성에 대해 "단정하기 어렵다"면서 "2주 안이다, 밖이다 이야기하기 어렵다"고 밝혔는데요,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 어떻게 예상하세요?

<질문 3> 한미 정상회담이 열리면, 두 정상이 마주 앉아 무엇을 논의할지가 관심입니다. 관세 협상이 타결되기는 했지만, 큰 틀에서 조율을 마친 것일 뿐 세부 사항을 놓고는 추가 협의가 진행되어야 하잖아요. 이러한 내용들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질까요?

<질문 4> 민감한 쟁점인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국방비 증액, 주한미군 재조정 관련 의제가 다뤄질 가능성도 있어 보이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청구서를 내밀 가능성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한미 관세 협상에서 미국산 무기 구매 내용이 빠졌는데요. 정상회담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시나요?

<질문 6>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주한미군의 역할 조정도 거론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 고위 관계자는 "주한미군의 역할과 성격은 여러가지 요인 때문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는데, 어떤 의미일까요?

<질문 7>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고 대북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앞으로 한미관계에 있어 북한 문제가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질문 8> 관세 협상을 일단락 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제 외교 성과를 내는 것에 집중해 북미 대화에 속도를 낼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8-1> 최근 북한이 비핵화가 아닌 다른 주제에 대해서는 미국과 대화할 수도 있다는 뉘앙스를 담은 입장을 발표했잖아요. 또 북미 정상이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고도 했고요, 이러한 분위기로 보아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도 있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심은진(tini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