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관세협상 타결 후 시선은 다가올 한미 정상회담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주 이내'를 제시한 상태에서, 한미 양국은 세부 일정 조율에 들어갔는데요.

민감한 안보 이슈를 놓고 2라운드 협상이 시작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장보경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은 일단 미국에서 열리는 것으로 정해졌습니다.

관세협상 타결과 동시에 양국은 외교채널을 통해 세부 일정 조율을 시작했습니다.

<조 현/외교부 장관> "이미 언론에 보도됐지요. 정상회담이 곧 있을 것이라고. 그것도 날짜를 조율중입니다. 내용도 물론 실무선에서 더 충실하게 만들어가는데 합의를 했습니다"

녹록지 않았던 '관세협상 파고'를 넘은 이 대통령은 오는 8일까지 여름휴가를 보낼 예정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2주 이내'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정상회담은 8월 둘째 주쯤으로 조율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다만 여전히 양국 정상의 일정이 유동적이어서, "단정해서 '2주 안이다, 밖이다' 얘기하기 어렵다"고 방미 중인 정부 고위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한미 정상의 첫 만남에서는 한반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안보 이슈들이 의제로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초 패키지 딜이 될 것으로 예상됐던 관세협상에서, 국방비 증액이나 방위비 분담금과 같은 안보 이슈는 빠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이 우리 측에 국방비를 국내총생산의 5%까지 증액하라는 요구와 함께 중국 견제에 동참하라는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구체적으로 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와 주한미군의 역할 조정 등의 이슈가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대화 재개를 위한 역할을 당부할 수 있다는 예상도 일각에서 제기됩니다.

안보 문제뿐 아니라 관세 협상 타결의 연장선상에서 국내 기업의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한 압박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취임 후 두 달 만에 첫 휴가를 떠나는 이 대통령이 '안보의 시간'을 맞아 정상회담 준비에 공을 들일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

[영상취재 이일환 윤제환 이현경]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보경(jangb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