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란 특검이 '평양 무인기' 의혹과 관련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과 이승오 작전본부장,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까지 동시에 소환했는데요.

특검은 작전이 정상적인 지휘 체계에서 진행됐는지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예린 기자입니다.

[기자]

내란 특검이 '평양 무인기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재차 소환했습니다.

특검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작전이 정상적인 지휘 경로인 합참의장을 건너뛰었다는 '합참 패싱' 의혹과, 이 과정에 당시 경호처장이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민간인 신분으로 개입했는지 여부입니다.

김 전 장관이 지난해 6월, 김용대 사령관을 포함한 군 관계자들과 비화폰으로 연락을 주고받은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특검에 출석한 김 사령관은 통화 당시 무인기 관련 지시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대/드론작전사령관> "(작년 6월에 김용현 전 장관이랑 비화폰으로 통화하면서 무인기 작전 지시받으셨나요?) 그런 지시 그때는 못 받아요."

특검은 또다른 핵심 당사자인 이승오 작전본부장도 함께 소환했습니다.

지난 8일 이 본부장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벌인 뒤, 피의자 신분으로는 처음으로 조사에 나선 겁니다.

특검은 무인기 침투 작전의 실행과 보고 과정을 확인하며, 두 사람의 진술을 비교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명분을 위해 작전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규명할 방침입니다.

민간인으로 계획을 주도했다는 의심을 받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도 소환해 무인기 작전에 관여한 정황이 있는지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계엄 당시 국회 봉쇄에 가담한 의혹을 받는 박현수 서울청장 직무대리도 참고인으로 출석했습니다.

특검은 박 직무대리가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의 혐의와도 관련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는데, 계엄 당시 국회 상황에 더해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가 경찰까지 하달됐는지 수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김예린입니다.

[영상취재 신용희]

[영상편집 김도이]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린(ye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