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조한번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앞서 보신 것처럼) 김정은 위원장이 다음 달 중국의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푸틴 대통령도 참석할 예정이어서 북중러 정상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게 됩니다.

우리나라 우원식 국회의장도 참석하며 김 위원장과 만날 가능성도 주목되는데요.

자세한 내용, 조한번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과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중국이 다음 달 3일 전승절 기념 열병식에 김정은 위원장이 참석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북러 밀착 속에 북중 교류가 뜸해지면서 관계가 소원해졌다는 평가가 나왔었는데, 이번 발표를 관계 회복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을까요?

<질문 2> 중국이 이번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하는 26명의 외국 정상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에 이어 김 위원장이 두 번째로 거명됐는데요. 순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요?

<질문 3>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2019년 이후 6년 만입니다. 다자외교 행사에 참석한 전례가 없는 김 위원장이 중국과 가까운 여러 나라 정상이 모이는 중국 전승절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두고 파격 행보라는 평가가 나오는데, 김 위원장이 초청에 응한 배경이 뭘까요?

<질문 3-1> 최근 이 대통령이 일본과 미국을 잇따라 방문해 한미일 공조를 다진 것을 의식한 조치일까요?

<질문 4> 푸틴 대통령이 이달 말부터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이어 내달 전승절 행사까지 중국에 머뭅니다. 김 위원장의 방중 결정에 북중러 3국 정상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게 됐는데, 3자 정상회담이 열릴까요?

<질문 4-1> 만약 북중러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주요 의제는 무엇일까요?

<질문 5> 우리나라에선 우원식 국회의장이 이번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김 위원장과 마주 서서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을 볼 수 있을까요?

<질문 5-1> 만약 우 의장과 김 위원장의 만남이 성사되면 이재명 정부가 의지를 보인 남북 대화의 물꼬가 터지는 계기가 마련될 수도 있을까요?

<질문 6> 앞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을 만나달라고 요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안에 만나고 싶다는 의향을 밝혔습니다. 이번 방중을 계기로 북미 대화를 위한 사전 준비 작업에 시동이 걸릴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트럼프 대통령이 중재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안갯속인 가운데, 김 위원장이 앞으로 러시아와의 관계를 어떻게 이끌어갈지도 주목됩니다. 어떤 방식으로 러시아와 밀착을 이어갈까요?

<질문 8> 이런 가운데, 중국이 이번 열병식에서 공개할 무기와 시진핑 주석의 내용이 이번 행사의 최대 관전 포인트로 꼽히는데요. 어떻게 예상하세요?

<질문 9> 어제(27일) 김 위원장이 특수작전훈련기지를 방문해 훈련 실태를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장에서 저격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저격수 양성소 조직을 주문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 후 김 위원장의 이러한 행보는 어떻게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혜연(hyep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