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한국인 구금'으로 우리 사회에 충격과 불안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우리 기업의 미국 투자가 상당한 만큼, 비자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들은 상용 비자 유연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배진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른 아침부터 미국 대사관 앞에는 비자를 발급받기 위한 시민들의 줄이 이어졌습니다.

예전엔 더 붐볐지만, 최근 미국 출국을 취소하는 사례가 늘면서 대기 인원이 평소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로 미국 출국을 앞둔 시민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취업이나 주재원 비자는 갈수록 하늘의 별따기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A씨 / 단기상용비자(B1) 발급 신청자> "원래 ESTA로 많이 나가고 했었는데 사내에서도 불안함을 많이 느끼고 있고 저도 B1 비자를 받고 있지만 이것도 좀 위험하다고 들어서 많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이게 되더라도 출국할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지난해 미국 정부가 내준 전문직 비자의 한국인 비율은 1%에 불과하고 주재원 비자도 4%에 그쳤습니다.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심사 기준도 까다롭다는 점이 걸림돌로 꼽힙니다.

구금된 한국인 300여 명 중 상당수가 상용 비자인 B1 비자를 소지했던 이유입니다.

기업들은 우선 B1 비자의 기준을 명확하게 하고, 보다 탄력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관세 협상의 후속 조치를 위해 미국을 찾은 실무 대표단은 이같은 입장을 미국 상무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별도 비자(E4) 신설 등을 포함해 합법적 비자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영상취재 이정우]

[영상편집 박상규]

[그래픽 전해리]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