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인 구금 사태는 귀국으로 일단락됐지만, 재발방지 대책 마련은 중대한 과제로 남았습니다.

우리 정부는 '한미 워킹그룹'을 가동하는 등 미국 비자 제도 개선과 같은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장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조지아주에 구금됐던 한국인들의 귀국이 확인된 직후, 대통령실은 '우리 국민의 권익과 기업 경제 활동이 침해되선 안된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침 아래 총력 대응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2의 조지아 악몽'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안을 면밀히 모색하겠다는 입장도 강조했습니다.

<위성락 /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B-1 비자라든가 에스타(ESTA)를 활용해왔습니다만 이번 사태로 인해서 이러한 대처가 큰 리스크가 있다는게 드러났습니다. 미국과 협의를 통해서 근원적 해결책을 마련해서 유사 사태의 재발을 막기로 방향을 정했습니다."

우선 정부는 업무 목적 단기 비자인 B-1에 대한 한미 간 해석 차이가 이번 사태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고 미국과 관련 협의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특히 B-1 비자에 대한 미국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미국의 법집행기관들이 일관된 집행을 할 수 있게 합의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비자 발급 기간과 비자 발급 거부율을 각각 줄이고, 소규모 협력사가 활용할 수 있는 비자 카테고리 신설도 모색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장기적으로는 미국 국내법을 고쳐 한국인을 위한 비자 쿼터를 확보하고, 새로운 비자 유형도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대미 투자 비중이 커지는 상황에서 우리 외교부와 미국 국무부 간 워킹그룹도 최소 국장급으로 가장 빠른 시일 내 만들기로 했습니다.

<조현 / 외교부 장관> "기업투자와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분들이 가장 빠르게 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주한미국대사관에서 별도의 데스크를 설치한다든지 이런 것들을 모두 포함해서 논의할 수 있는 워킹 그룹을 만들기로 합의했습니다."

귀국한 한국인들이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 가능성을 우려하는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지만, 대통령실과 정부는 "불이익 없는 재입국"을 확답 받았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영상취재 이일환 윤제환 정창훈]

[영상편집 송아해]

#외교부 #대통령실 #비자 #한국인 #구금 #워킹그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윤희(eg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