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나라와 미국의 산업장관이 뉴욕에서 다시 만났습니다.

지난 7월 타결된 관세 협상 관련 후속 협의를 위해서 였는데요.

대미 투자 세부구조를 두고 교착 상태인 가운데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됩니다.

곽준영 기자입니다.

[기자]

어렵사리 우리 근로자들이 고국 땅을 밟자 공항에선 눈물의 상봉이 연출됩니다.

<현장음> "미안해. (아녜요. 괜찮아요) 고생 많았어."

구금됐던 직원들이 안도의 한숨을 길게 내쉬는 사이, 미국 측은 한국을 향한 관세 압박에 다시 시동을 걸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우리 근로자를 풀어준 날 한 방송에서 한국을 향해 무역협정 서명을 압박했습니다.

미국의 조건대로 합의하지 않을 경우 상호 관세율을 25%로 되돌리겠다며 일본 사례를 참고하라는 의중도 나타냈습니다.

한미는 상호관세 15% 인하와 3,500억달러 규모 대미투자 등에 대해 큰 틀에선 합의했지만, 공식 문서화 등 마침표는 찍지 못했습니다.

실무 협의가 교착 상태에서 나아가질 못하자 김정관 산업부 장관도 미국으로 건너가 러트닉 장관을 지난 7월에 이어 다시 만났습니다.

특히 대미 투자의 수익 배분 등 세부 구조와 관련해 이견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두 장관은 후속 협의를 이어갔습니다.

정부는 여전히 국익 최우선 원칙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상황.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 7월)> "국익 관점에서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대응 능력을 가다듬고 있습니다."

미국 측의 압박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미 간 협상의 세부 조율을 매듭짓고 협정 문안에 서명하기까지 앞으로도 상당한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

[영상편집 김휘수]

[그래픽 강영진]

#김정관 #산업장관 #미국 #러트닉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곽준영(kwak_k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