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정부는 미국에 구금됐던 한국인들의 귀국 파장을 주시하며 미국과 비자 제도 개선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B1(비원) 비자의 해석 차이부터 좁혀갈 방침인데요.

여기에 관세 후속 협상까지 중대 고비를 맞으며 한미 관계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모습입니다.

장윤희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는 비자 문제를 논의할 한미 워킹그룹을 국장급으로, 가장 빠른 시일 내에 만들기로 했습니다.

미국 내에도 해석이 다른 단기 비자들에 대한 명확한 기준부터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위성락/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일관된 법 집행을 할 수 있도록 미국과 협의를 해나가고자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국내법을 개정해 주재원비자 발급이 어려운 단기 파견 근로자, 협력사 직원을 감안한 '새로운 비자'를 만드는 방안도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실제로 이번에 귀국한 한국인 근로자 절반 이상이 주재원 비자가 아닌, 전자여행허가 ESTA를 이용해 미국에 입국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정애 의원이 외교부와 기업에서 받아 공개한 구금 한국인 317명의 비자 유형에 따르면, 170명이 'ESTA', 146명이 상용 비자 'B1·B2'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명은 합법적인 취업 허가(EAD) 비자를 보유하고 있는 데도 구금됐습니다.

이 직원은 한국행 비행기를 타지 않고 미국에 남아 법적 대응키로 했습니다.

정부는 기업을 위한 전용 비자 창구도 신속히 만들기로 했습니다.

대미 투자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비자 제도가 이를 못 따라간 점도 이번 구금 사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기 때문입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기업 투자와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분들이 가장 빠르게 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주한미국대사관에서 별도의 데스크를 설치한다든지."

이번 한국인 구금 사태와 대미 투자 관련 비자 문제는 관세 후속 협상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3,500억달러 대미투자펀드를 놓고 미국이 전액 현금으로 조달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한미 비자 개선 문제가 관세 협상과 연계될 경우 그 결과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밝혔듯 합리성이나 공정성을 벗어난 협상은 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영상취재 이일환 윤제환 정창훈]

[영상편집 김미정]

[그래픽 김두태]

[뉴스리뷰]

#외교부 #한미 #대통령실 #비자 #ESTA #B1 #워킹그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윤희(eg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