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란 특검이 계엄 당시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계엄에 동조했다는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청사 폐쇄 조치가 지차제의 자발적 판단으로 이뤄졌는지 사실관계를 파악할 방침인데요.

보도에 김예린 기자입니다.

[기자]

12·3 비상계엄 당시, 지방자치단체들이 계엄에 협조했다는 의혹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내란특검대응특별위원회가 일부 지자체들이 계엄 선포 당일 청사를 폐쇄하고 비상대책회의를 진행했다며 문제삼은 겁니다.

특히 서울시와 부산시는 행안부의 청사 통제 지시가 내려오기도 전에 자발적으로 청사를 폐쇄했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특검은 의혹과 관련해 본격적인 사실관계 확인에 나섰습니다.

지난 12일 방기선 전 국무조정실장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정부 기관 폐쇄 조치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지시였는지 조사했습니다.

국무총리와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에서 지자체로 이어지는 지휘 체계에 따라 지시가 하달된 건지 파악하기 위해섭니다.

특검은 지자체 관련 수사도 필요하다고 밝혔는데 폐쇄 조치가 지자체장의 자체적 판단 하에 이뤄졌는지도 확인이 필요하다는 판단입니다.

현재는 사실관계를 다지는 단계로, 조만간 행안부와 지자체 관계자들을 잇달아 소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지자체장들은 계엄 동조 의혹을 부인하는 입장입니다.

서울시는 지난 12일 입장문을 내고 "이미 여러 차례 계엄 당일 상황과 서울시의 조치 내용을 밝혀왔다"며 "근거 없는 의혹 제기"라고 반박했습니다.

특검은 지자체의 청사 폐쇄 행위 자체로 범죄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 법리를 검토하며 추가 조사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김예린입니다.

[영상편집 김세나]

[그래픽 김재윤]

[뉴스리뷰]

#내란특검 #서울특별시 #지자체 #부산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린(ye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