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우리 정부는 미국의 요구가 과도하다며 급하게 타결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국익 중심의 협상을 펼치겠다는 기조를 재확인했는데요.

미국이 과거와 다른 행태를 보인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김민아 기자입니다.

[기자]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간 관세 후속 협상.

대통령실은 "이른 시일 내 협상을 타결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면서도, 국익 중심의 협상 기조를 재확인했습니다.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국익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기업 손해를 강요할 수 있는 협상안에는 서명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우상호 / 대통령실 정무수석> "계속해서 두 국가 간에 여러 가지 견해를 조율을 하고 있는 과정인데 아직은 저희가 협상이 타 결될 전망이 높아 보이진 않습니다. 그러나 최대한 양 측의 접점을 찾아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기업이 미국에 투자하러 가는 것은 돈을 벌러 가는 것이지 돈을 퍼주러 가는 것이 아니지 않느냐"며 "그런 기업을 향해 정부가 나서서 '미국이 원하는 대로 해달라'고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재정적 부담을 이유로 한미 정상회담 때 관세 협상 결과를 문서화하지 않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 "당시에 그걸 그대로 문서화했다면 사실은 우리 경제에 상당히 큰 주름살이 될 수도 있는 걱정스러운 내용들이 들어있었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조속히 협상 타결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역시 미국 측 제시안을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서로 윈윈할 방안에 초점을 맞춰 협상을 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측이 3,500억달러 투자를 놓고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김민석 총리도 "최종 협상이 진행되고 결론이 나는 시점에 국회 동의가 필요할 수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또 한국인 구금사태와 관련해 조 장관은 이민 문제 등으로 "미국이 좀 변한 것 같다"며 "과거 동맹, 우방국과 상당한 협력을 해왔던 미국이 아니란 걸 실감했다"고 했습니다.

다만, 이번 사태가 오히려 비자 문제를 해결하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도 언급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입니다.

[영상편집 이애련]

[그래픽 전해리]

#한미관계 #한미관세협상 #조현_외교부장관 #김민석_국무총리 #조지아주_한인_구금 #국회대정부질문 #우상호_대통령실_정무수석 #비자문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