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간 관세 협상이 지난 7월 타결됐지만, 아직도 세부 조율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미국에 얼마나, 또 어떤 방식으로 투자할지를 놓고 양측의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기자]

7월 말 큰 틀에서 합의를 이룬 한미 관세협상, 하지만 후속협상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김정관 산업부 장관에 이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후속협의를 위해 미국에 급파됐습니다.

한미 간 최대 쟁점은 대미투자 방식과 수익 배분입니다.

미국은 우리가 약속했던 투자 규모 3,500억 달러 대부분을 직접 투자로 집행하고, 사업 선정권도 자신들이 주도하길 원합니다.

게다가 일본과의 합의에서처럼 투자 수익의 90%를 자신들이 갖길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반면 우리 정부는 대출·보증 등 간접투자로 부담을 낮추고, 우리 기업이 직접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9대 1'처럼 불합리한 수익 배분 역시 재조정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교착이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미국 측의 무리한 요구를 급하게 받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지난 11일)> "대한민국 국익에 반하는 결정은 절대 하지 않는다. 합리성과 공정성을 벗어난 협상도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당분간 관세 충격을 감수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강인수 /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 "우리 입장에서는 미국이 웬만큼 우리의 경제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협조를 해줘야지 우리도 미국한테 3천억불 투자가 가능하다 이런 얘기를 하는 거잖아요. 지금 상황에서는 조기 타결 가능성은 그렇게 높아 보이진 않고요."

정부는 일부 불확실성은 완화됐지만, 여전히 수용하기 어려운 세부 협의에 있어서는 쫓기지 않겠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

[영상편집 김휘수]

#한미관세협상 #후속협의 #대미투자 #투자배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주영(ju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