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더불어민주당이 조희대 대법원장 관련 의혹을 부각하며 압박 강도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사법부에 대한 여권의 압박이 이재명 대통령 탄핵 사유라며 연일 맞불을 놓고 있는데요.
국회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윤솔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의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 요구를 놓고 여야는 오전부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제주에서 열린 최고위회의에서 조 대법원장을 향해 "비상계엄에도 침묵하고 서울서부지법 폭동에도 침묵하다가 사법개혁 요구에만 반대 의견을 냈다"고 작심 비판했습니다.
특히 조 대법원장이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사건은 대법원에서 알아서 처리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언급하면서, "의혹 제기가 사실이라면 조 대법원장을 어떻게 해야 하겠느냐"며 "스스로 답할 때가 되었다"고 강하게 압박했습니다.
이어 "정치적 편향성과 알 수 없는 의혹 때문에 사퇴 요구가 있는 만큼 대법원장 직무를 계속 수행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며 '내란 특검'의 관련 수사도 촉구했습니다.
사실상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조국혁신당은 여기서 더 나간 주장을 했는데요.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은 "자업자득"이라며 '조희대 특검'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탄핵소추안까지 미리 준비해두었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조 대법원장 사퇴에 반대하는 것은 물론, 대여 공세의 수위를 계속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장동혁 대표는 오전 공개 발언을 통해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 압박은 명백하게 반헌법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통령실도 원칙적으로 공감한다는 것은 반헌법적이고 탄핵 사유까지 된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부메랑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국민의힘에서는 권성동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된 것과 관련해서도 일제히 비판에 나섰는데요.
장 대표는 권 의원 구속 결정을 두고 "민주당과 이재명 정권이 장기집권 개헌으로 가기 위해 차근차근 밟아가고 있는 야당 말살"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국회가 대정부질문을 이어가고 있는데, 오늘은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이 예정돼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오후 2시 국회는 본회의를 열고 사흘째 대정부질문을 이어갑니다.
이재명 정부의 재정 확장 기조가 화두에 오를 거로 보이는데요.
여야는 이를 두고 각각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죠.
민주당은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점 등을 부각하면서 민생 회복을 위한 확장 재정 기조를 재차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에선 '퍼주기식 포퓰리즘'이란 기본 입장을 견지하면서 정부를 향해 맹공을 펼칠 거로 보입니다.
또 논란이 된 이른바 상법 개정안 등을 두고도 시장의 투명성 강화냐, 기업 부담 가중이냐 등으로 입장이 갈릴 거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여야는 3+3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고 오는 19일 첫 회동을 갖기로 했습니다.
여야는 원내대표를 제외한 정책위의장과 수석부의장, 원내정책수석이 참석하는 3대 3 협의체를 가동하기로 한 건데요.
공통 공약이 테이블에 오를 예정이어서 처리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현장연결 주년규]
[영상편집 송아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솔(solemio@yna.co.kr)
더불어민주당이 조희대 대법원장 관련 의혹을 부각하며 압박 강도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사법부에 대한 여권의 압박이 이재명 대통령 탄핵 사유라며 연일 맞불을 놓고 있는데요.
국회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윤솔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의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 요구를 놓고 여야는 오전부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제주에서 열린 최고위회의에서 조 대법원장을 향해 "비상계엄에도 침묵하고 서울서부지법 폭동에도 침묵하다가 사법개혁 요구에만 반대 의견을 냈다"고 작심 비판했습니다.
특히 조 대법원장이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사건은 대법원에서 알아서 처리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언급하면서, "의혹 제기가 사실이라면 조 대법원장을 어떻게 해야 하겠느냐"며 "스스로 답할 때가 되었다"고 강하게 압박했습니다.
이어 "정치적 편향성과 알 수 없는 의혹 때문에 사퇴 요구가 있는 만큼 대법원장 직무를 계속 수행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며 '내란 특검'의 관련 수사도 촉구했습니다.
사실상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조국혁신당은 여기서 더 나간 주장을 했는데요.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은 "자업자득"이라며 '조희대 특검'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탄핵소추안까지 미리 준비해두었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조 대법원장 사퇴에 반대하는 것은 물론, 대여 공세의 수위를 계속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장동혁 대표는 오전 공개 발언을 통해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 압박은 명백하게 반헌법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통령실도 원칙적으로 공감한다는 것은 반헌법적이고 탄핵 사유까지 된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부메랑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국민의힘에서는 권성동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된 것과 관련해서도 일제히 비판에 나섰는데요.
장 대표는 권 의원 구속 결정을 두고 "민주당과 이재명 정권이 장기집권 개헌으로 가기 위해 차근차근 밟아가고 있는 야당 말살"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국회가 대정부질문을 이어가고 있는데, 오늘은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이 예정돼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오후 2시 국회는 본회의를 열고 사흘째 대정부질문을 이어갑니다.
이재명 정부의 재정 확장 기조가 화두에 오를 거로 보이는데요.
여야는 이를 두고 각각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죠.
민주당은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점 등을 부각하면서 민생 회복을 위한 확장 재정 기조를 재차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에선 '퍼주기식 포퓰리즘'이란 기본 입장을 견지하면서 정부를 향해 맹공을 펼칠 거로 보입니다.
또 논란이 된 이른바 상법 개정안 등을 두고도 시장의 투명성 강화냐, 기업 부담 가중이냐 등으로 입장이 갈릴 거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여야는 3+3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고 오는 19일 첫 회동을 갖기로 했습니다.
여야는 원내대표를 제외한 정책위의장과 수석부의장, 원내정책수석이 참석하는 3대 3 협의체를 가동하기로 한 건데요.
공통 공약이 테이블에 오를 예정이어서 처리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현장연결 주년규]
[영상편집 송아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솔(solemi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1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