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미 기준금리 결정이 카운트다운에 돌입했습니다. 사실상 0.25%p 인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데요. 반년 넘게 동결 기조를 이어왔는데, 이번에 금리 인하는 거의 확실하다는 이 분위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1-1> 이번에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올해 첫 금리인하인데요. 그렇다면 관심은 올해 금리가 추가로 더 내려갈지 여부로 연결됩니다. 앞으로 10월과 12월 두 번의 FOMC 회의가 남았는데,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질문 2> 정말 금값 이야기는 거의 매일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국제 금값이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0.2% 오르며 신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내일 FOMC 회의 이후 올해 두 차례 더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분석도 있던데, 금값은 계속 오르게 되는 건가요?

<질문 3> 어제 3,450선 코앞에서 멈췄던 코스피가 오늘은 하락 출발하며 숨고르기를 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3-1> 한국의 주가 지수가 이달 들어 주요국 지수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하는데요. 우리뿐 아니라 미국과 일본 증시도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가 있을까요?

<질문 4>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하는데요. 나랏빚이 많아졌다는 건데, 세계 주요국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정부부채비율이 높은 편인가요?

<질문 4-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현재 경기가 좋지 않아 재정이 어느 정도 역할을 해 줘야 한다고 했는데요.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서 앞으로 부채 비율이 더 높아질 수도 있는 건가요?

<질문 5> ‘2025년 세제개편안'에 따라 오너 일가의 배당소득세 부담이 1,500억원 가량 줄어들 전망인데요. 최대 수혜자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라고 하는데, 세재개편으로 오히려 대기업들이 절세가 되네요?

<질문 5-1> 10대 그룹 중 상장사 모두 고배당 기업에 들지 못한 그룹은 한화가 유일했다고 하는데요. 고배당 기업이란 무엇이며, 왜 한화는 한 곳도 해당이 안 된 건가요?

<질문 6>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 규모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습니다. 피해자 규모가 수십만에서 수백만 명까지 달할 수 있는 관측까지 제기가 되고 있어요?

<질문 6-1> 이번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인해 수백 만명의 피해자가 나온다면 단순히 사과로 그칠 수 없을 텐데, 어떤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유동(kimp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