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상 초유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650여개에 달하는 정부 시스템이 줄줄이 마비됐습니다.

약 2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가 있었지만, 이후 마련된 재해 복구 시스템은 전혀 작동하지 않았는데요.

이유가 뭔지, 배규빈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23년 11월, 정부 민원서비스가 대거 마비됐습니다.

주민등록등본을 발급할 때 이용하는 '정부24'를 시작으로 경찰청 문자시스템과 조달청 나라장터 등이 마비되면서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

이후 정부는 즉각 후속 조치를 마련했습니다.

전산 장애를 사회적 재난 일부로 포함하고, 공공기관 정보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2~3시간 이내 복구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화재에서 재해복구 시스템은 전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불이 난 대전 본원 외에도 대구와 광주에 각각 분원이 있었지만, 이원화 시스템이 전혀 구축돼있지 않았던 겁니다.

서로 복구 체계가 마련돼 있는 대전과 광주도 당장 가동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이용석 /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28일)> "DR(재해복구) 시스템이 필요 최소한의 규모로만 되어 있는 것도 있고 어떤 형태는 스토리지만 돼 있고 데이터 백업 형태로만 되어 있는 것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향만 잡았을 뿐, 이원화 체계 마련을 위한 예산과 인력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승주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카카오 사고 당시 카카오한테 요구했던 걸 그대로 하면 돼요. 대전에 있는 시스템과 똑같은 걸 (광주나 대구에) 여벌로 만들어 놓는 겁니다. 결국에는 돈과 인력의 문제인 거예요."

정부는 복구 작업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2년 전 사고 이후에도 대응이 미비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배규빈입니다.

[영상편집 진화인]

[뉴스리뷰]

#화재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부24 #이원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규빈(beani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