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산망 마비 사태가 나흘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화재를 두고 다양한 원인이 지목되면서 사실상 '예견된 참사'였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정부 행정시스템 장애가 나흘째 이어지고 있습니다만 오늘 정오를 기준으로 복구율이 1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복구 작업이 더딘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질문 2> 특히 전소된 96개 시스템의 경우, 국정자원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해야 해서 복구까지 4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하는데 여기에는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업무망 등 주요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한 달가량 업무 차질이 불가피하지 않겠습니까?

<질문 3> 이번 화재로 인해 대부분의 민원, 행정업무 마비사태까지 발생한 건데, 이번 사태 문제의 핵심은 뭡니까?

<질문 4> 전문가들은 전산망 이중화를 소홀히 했기 때문에 단순 화재가 정부 전산망 전체 중단 사태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는데요. 정보 시스템 이중화 조치가 되지 않는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질문 5> 이번 화재로 인해 데이터 손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실시간으로 백업이 이뤄지지 않아 마지막 백업 시점이 언제였는지에 따라 데이터 손실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예상해 볼 수 있을까요?

<질문 6> 이렇게 피해를 키운 데에는 배터리와 업무 시스템 서버가 좁은 공간에 함께 배치돼 있고, 서버와 서버 사이 간격도 1.2m로 공간이 협소했다고 합니다. 이 부분도 영향을 미쳤을까요?

<질문 7> 이번 대전 국정자원 화재 원인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가 지목되고 있는데요. 실제 이 베터리가 사용 기한을 넘겨 지난해 교체 권고를 받았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8> 일각에서는 예고된 인재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배터리 자체 결함보다는 이전 과정에서의 작업자 실수, 국정자원의 감독 소홀 등 인재 가능성 있다고 보세요?

<질문 9> 지난 2023년에도 비슷한 행정망 장애가 발생한 바 있는데요. 당시 정부가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대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사태가 재발하는 원인은 뭐라고 보세요?

<질문 10> 경찰은 사고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겠다고 밝히고 있는데요.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일부가 아닌 전체 시스템에 대한 이중화와 백업 체계의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어떤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세요? 민영화도 고려해 봐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보나(bonama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1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