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3,500억 달러의 현금 대미 투자는 불가능하다며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선불' 주장과 관련해선 진의를 확신할 수 없다고 답했는데요.

이른바 '동맹파-자주파' 논쟁에는 자신도 "아주 강한 입장을 취하는 사람"이라며 갈등설에 선을 그었습니다.

장보경 기자입니다.

[기자]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국의 대미 투자 3,500억 달러가 '선불'이라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의 진의와 관련해, "지금으로선 확신하지 못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문제의 발언은 전액 현금 투자에 선을 긋고 외환시장 안전장치와 함께 '상업적 합리성'을 갖춘 대안을 요구하는 우리 정부에 보내는 경고가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지만, "상관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는 게 위 실장의 해석입니다.

구체적으로 "우리 정부가 발신한 메시지를 다 알고서 나온 말인지, 그렇지 않은지 확신할 수 없다"며 "기본적인 입장을 얘기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부연했습니다.

이어 "우리 입장에서 3,500억 달러 현금은 가능한 것이 아니기에 대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기존 입장을 다시 한번 명확히 했습니다.

최근 조지아주 구금 사태로 불거진 비자 개선 협상에 대해서도 "비자 문제가 잘 되면 한미 투자 과정은 나아질 수 있다"면서도, "3,500억 달러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비자 문제와 연결 지을 수 있다고 하기 어렵다"며 별개의 문제로 치부했습니다.

민주당 일각에서 대미 강경 발언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선 "가용한 여러 카드를 운용하더라도 '오버 플레이'하지 않아야 한다"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 우라늄 농축 및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문제와 대미 투자 협상은 무관하다고 단호하게 선을 그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구상인 'END 이니셔티브'를 둘러싼 야권 일각의 비판에는 "비핵화 목표는 변함없다"고 일축했고, 북핵 '동결'에서 '중단'으로 용어가 바뀌었다는 지적에도 "중단이든 동결이든 필요하면 검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동맹파-자주파' 논쟁이 불거지는 데 대해선, "자신이 무슨 '파'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최적의 국익으로 이어지는 방안을 선택하고 제기하는 것이 제 일"이라고 답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

[영상취재 이일환 윤제환 정창훈]

[영상편집 함성웅]

[그래픽 남진희]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보경(jangb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