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1> 미 관세협상 이야기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지난주 제주에서 한미 통상회의가 열렸었는데요. 이번 주는 다시 미국 워싱턴으로 넘어가 2차 기술협의가 열릴 예정입니다. 이르면 내일 협상단이 방미길에 오를 예정이라고 하는데, 이제 우리나라와 미국 간 실질적인 관세 협의가 시작이 된다고 봐야겠죠?
<질문2> 지난주 제주에서 한미 통상 수장이 만나 협의 의제를 6개 분야로 설정했는데요. 이번 주 워싱턴에서 만나게 되면 이제 구체적으로 서로 원하는 내용들을 내놓기 시작하는 건가요? 어떤 이야기들이 나오게 될까요?
<질문3> 우리나라는 미국의 25% 상호관세 및 품목 관세 모두를 면제 받기를 원하고 있지만, 미국이 이것을 순순히 받아줄 리 없을 텐데요. 무엇을 주고, 무엇을 받아야 할까요?
<질문3-1> 6월 초에 우리나라에 새 정부가 들어서게 되는데요. 6월 한국 대선 이후 정부가 교체되고 협상 라인이 바뀌면서 한미 관세 협상이 7월 8일을 넘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4>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이 미국과 협상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으면 다시 높은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는데요. 선의로 협상하지 않으면 일방적으로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건 어떤 의미라고 보세요?
<질문5>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했는데요. 무디스가 1917년 이래 미 신용등급을 계속 최고등급을 유지해 왔는데 108년 만에 강등된 거라고 하던데, 이건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
<질문5-1> 무디스 뿐 아니라 2011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2023년 피치에 이어 이번에 무디스까지,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최고 등급 지위를 잃은 건데요. 글로벌 금융시장의 반응은 어떤가요?
<질문6> 미국 국채는 글로벌 채권시장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미 국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세계 채권시장에도 혼란이 불가피할 텐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어떻게 나올 거라 보세요?
<질문7> 기재부에서는 미 신용등급 강등이 예상된 조치라며, 시장에는 영향이 제한적일 거라고 했지만, 미 신용등급 강등 여파에 코스피가 장중 2,600선을 밑으로 떨어졌는데요. 미중 관세 협상이 90일 유예 되면서 5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었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8> 김치 종주국은 누가 뭐래도 우리나라인데요. 한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저가 김치가 계속 증가해 올해 1분기 김치 수입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중국은 김치가 자기네 나라가 원조라고 하고 있는데, 이러다 진짜 김치 종주국 위치를 빼앗기는 거 아닌가요?
<질문8-1> 중국산 김치가 역대급으로 수입이 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이며, 중국산 김치 수입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나 방안 같은 것이 있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1> 미 관세협상 이야기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지난주 제주에서 한미 통상회의가 열렸었는데요. 이번 주는 다시 미국 워싱턴으로 넘어가 2차 기술협의가 열릴 예정입니다. 이르면 내일 협상단이 방미길에 오를 예정이라고 하는데, 이제 우리나라와 미국 간 실질적인 관세 협의가 시작이 된다고 봐야겠죠?
<질문2> 지난주 제주에서 한미 통상 수장이 만나 협의 의제를 6개 분야로 설정했는데요. 이번 주 워싱턴에서 만나게 되면 이제 구체적으로 서로 원하는 내용들을 내놓기 시작하는 건가요? 어떤 이야기들이 나오게 될까요?
<질문3> 우리나라는 미국의 25% 상호관세 및 품목 관세 모두를 면제 받기를 원하고 있지만, 미국이 이것을 순순히 받아줄 리 없을 텐데요. 무엇을 주고, 무엇을 받아야 할까요?
<질문3-1> 6월 초에 우리나라에 새 정부가 들어서게 되는데요. 6월 한국 대선 이후 정부가 교체되고 협상 라인이 바뀌면서 한미 관세 협상이 7월 8일을 넘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4>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이 미국과 협상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으면 다시 높은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는데요. 선의로 협상하지 않으면 일방적으로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건 어떤 의미라고 보세요?
<질문5>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했는데요. 무디스가 1917년 이래 미 신용등급을 계속 최고등급을 유지해 왔는데 108년 만에 강등된 거라고 하던데, 이건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
<질문5-1> 무디스 뿐 아니라 2011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2023년 피치에 이어 이번에 무디스까지,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최고 등급 지위를 잃은 건데요. 글로벌 금융시장의 반응은 어떤가요?
<질문6> 미국 국채는 글로벌 채권시장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미 국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세계 채권시장에도 혼란이 불가피할 텐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어떻게 나올 거라 보세요?
<질문7> 기재부에서는 미 신용등급 강등이 예상된 조치라며, 시장에는 영향이 제한적일 거라고 했지만, 미 신용등급 강등 여파에 코스피가 장중 2,600선을 밑으로 떨어졌는데요. 미중 관세 협상이 90일 유예 되면서 5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었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8> 김치 종주국은 누가 뭐래도 우리나라인데요. 한국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저가 김치가 계속 증가해 올해 1분기 김치 수입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중국은 김치가 자기네 나라가 원조라고 하고 있는데, 이러다 진짜 김치 종주국 위치를 빼앗기는 거 아닌가요?
<질문8-1> 중국산 김치가 역대급으로 수입이 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이며, 중국산 김치 수입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나 방안 같은 것이 있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